논 98.4%달성-밭 60.2%불과
밭작물종류 200개 대응 난해
장기임대 방식 기계화 착수
전북 21개소 42억 투입 지원

‘게걸음 수준’의 밭농업 기계화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논농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계화가 더딘 밭농업은 올들어 대폭 확대된 기계화 지원사업을 통해 농업인들의 경작과 수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농촌진흥청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논·밭농업 기계화율 표본조사 용역결과 논농업기계화율은 98.4%인데 반해 밭농업은 60.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을 비롯한 전국의 논농업 기계화율이 100%에 육박하고 있지만 밭농업 기계화율은 아직까지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유는 밭농업에 필요한 농기계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은데다 농기계 보급 과정에서도 각각의 농가, 개별 작물을 상대해야 하는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논농업은 벼 작물 하나에 집중하면 되지만 밭 작물의 경우 200여가지가 넘을 정도로 많아 기계화율을 끌어올리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밭농업에 사용할 농기계를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기임대 방식의 농업기계화 사업에 착수했다.

농식품부는 전라북도를 비롯한 전국의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오는 2022년까지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된 ‘제8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은 5개년 단위로 시행되고 있으며 올해도 전북지역 등에서 사업이 한창 진행중이다.

이 사업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더딘 기계화율을 보이고 있는 밭농업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다.

농진청이 주도적으로 밭농업 기계를 개발하고 이를 농기계 임대사업소나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사업’을 통해 실질적으로 밭농업 농기계 이용률을 제고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올해 밭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사업 21개소에 각각 2억원씩 42억원을 투입한다.

지난 2017년 2개소, 지난해 4개소에 이어 올해는 그 수가 대폭 늘어났으며 향후 추가 신청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농협과 영농법인, 벼 대체작물 수확 단체 등에 개발된 농기계를 장기임대해 경작부터 수확까지 전 과정의 기계화 작업을 돕는 방식이다.

기존 시·군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단기임대 방식으로는 다양한 밭작물의 기계화를 감당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했다고 할 수 있다.

단기임대를 줄이고 장기임대를 늘려 밭농업의 기계화율을 높여나가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농기계 장기임대에는 소농들의 농작업을 30~40%까지 의무적으로 대행해줘야 하는 조건도 달았다.

이에 따라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사업을 통한 밭농업의 기계화율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밭농업 기계화율은 농업기계화 기본계획 시행 이전에 47%에 그칠 정도로 미미했다.

지난 2017년도 58.4%였던 기계화율은 격년제로 조사되는 지난해 표본조사에서 60.2%를 달성했다.

농식품부는 이 같이 더딘 밭농업 기계화율을 오는 2022년까지 7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농진청 농업과학원 재해예방공학과 김병갑 연구관은 “현재로서는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사업이 농업의 기계화율을 높이는데 가장 효과가 있는 방안으로 생각된다”며 “영세한 농가들이 수백가지 밭작물을 경작하는데 농기계를 쓰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동용으로 갈 수 밖에 없다.

한 농가 한 농가는 작아도 주산지별로 농기계를 보급하게 되면 효율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