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일자리 질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 상위지역에 꼽혔고, 전북은 전남, 경북과 함께 하위지역으로 분류됐다.

따라서 양질의 도시인프라가 수도권 도시지역과 지방 대도시를 중심의 자녀들에게만 대물림 되면서 세대 간 계층이동성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과 대전이 일자리 질 지수 상위지역에 꼽혔다.

보고서를 쓴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지원팀장은 통계청의 2010년과 2015년 인구통계등록부와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해 지역별로 좋은 일자리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역 일자리 질 지수’를 개발했다.

이 지수는 지자체별 전체 취업자 중 고소득자(소득 4분위), 고학력자(전문대졸 이상), 고숙련자(전문가·관리자) 비중을 분석한 것이다.

전북(18.2%)은 고소득 계층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적은 제주(14.4%), 세종(18.1%)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 순위였다.

반면 고소득 계층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9.85)이며, 서울(28.8%), 충남(27.4%), 경기(26.1%)가 뒤를 이었다.

고학력 계층 비중도 마찬가지다.

전북(32.5%)은 전남(25.9%)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학력 비중이 적었고, 서울(55.1%), 대전(53.7%), 세종(53.3%)은 고학력자 비중이 높았다.

이상호 팀장은 "이번 통계로 볼때,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더 나아가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도시 위기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공간을 무시한 사람 중심의 접근이나 인프라 중심의 개발사업처럼 단순한 접근을 하기 보다는 양질의 일자리를 매개로 사람과 장소 중심의 통합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