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도내 재해자 수 1,092명
2년간 사망자수 50명 이나
안전불감증 만연 위험 높아
고용부 재해예방 활동 적극

건설업 사망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북지역의 산업재해 사고도 매년 수천명에 이르고 있어 건설현장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일 고용노동부에서 파악하고 있는 지난 2월 현재 전체 건설업 사고 사망자 수는 74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7%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기준 전체 산업 사망자 964명 중 건설업 사망자는 506명으로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2년간 전북지역의 산업재해를 보더라도 건설업 사고가 상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주•익산•군산지청 등 전북 관내에서 발생한 건설업 사고 재해자수는 지난 2017년 1천92명, 2016년 1천84명으로 나타났으며 사망자도 2년에 걸쳐 50명에 달했다.

2017년에는 3천340명의 산재 사고자가 발생했으며 2016년에도 3천301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다.

재해자수가 늘어나면서 사망자도 2017년 46명, 2016년 41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고용노동부 전주지청이 지난해 11월 19일부터 3주 간 대형사고 위험이 높은 전북지역 건설현장 40곳을 대상으로 ‘동절기 대비 건설현장 감독’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40곳이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건설현장 감독에서 적발된 위반 사례를 보면 익산지역 건설현장의 경우 낙하물체가 지나가는 행인과 근로자를 위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군산에서는 목재가공용 둥근톱 방호덮개가 설치되지 않아 손가락 절단사고 위험이 매우 큰 현장을 적발했다.

지난해 11월 21일 군산시 비응도동 수협 앞에서는 크레인 작업을 하던 인부가 3m 아래로 추락 해 A모씨(41)가 중상을 입고 군산의료원으로 이송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전국적으로 건설업 사망자 수는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현장의 사고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의 사고가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용부는 올해도 사망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분야를 중심으로 재해 예방 활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건설현장 사망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추락과 건설기계 분야의 사고에 집중적인 관리감독과 함께 건설현장 불량비계 퇴출, 사망사고 발생이 많은 굴삭기나 고소작업대, 크레인 등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