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자치단체가 인구증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보조금 지급과 각종 인센티브를 내세우며 외지기업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향토기업에 대한 지원은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향토기업들에게 주어지는 혜택들은 과언 무엇이란 말인가? 수원과 인천 등 수도권지역과 인근 광주지역의 지자체가 향토기업의 기를 살리자는 취지로 경영자금지원과 금융이자 절감 등의 지원책을 잇달아 실시하고 있는 것과 큰 대조를 보이는 대목이라는 게 본보의 지적이다.

이 때문에 신설기업을 유치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증설에 나설 수 있도록 소위 ‘집토끼’ 간수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익산에 본사를 둔 하림이 닭고기에서 농식품으로 영역을 넓힌데 이어 하이트진로 전주공장이 신제품 출시로 시장 공략에 나서고 풀무원 다논도 무주의 생산 설비를 늘리기로 했다.

전북지역 식료품 제조업 생산액은 지난 2008년 4조400억 원에서 지난 2017년 7조4천7백억 원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하림은 2024년까지 전북에 7천100억원을 투자해 육가공 단지와 가공식품 콤플렉스, 하림 푸드 트라이앵글을 구축한다.

1천500여명의 고용효과는 물론, 전북식품산업을 견인하는 앵커기업으로 역할이 기대된다.

다논도 40명의 지역신규 고용창출은 물론 관련 농가의 소득과 산업기반이 약한 동부권에 새로운 성장 상생모델이 되고 있다.

하이트진로도 전주공장을 신제품인 테라(TERRA)의 생산전진 기지로 전환할 예정이다.

반면 행정의 지원책은 대부분 외지기업 유치에 기울어져 있다.

막대한 보조금 지급과 인센티브를 내세우며 경쟁적으로 기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정작 수십 년간 도내에서 세금을 내고 지역일자리 창출에 이바지 했던 향토기업에 대한 지원은 소홀, 향토기업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향토기업의 경우 세제지원에서 일반기업과 동일한 적용을 받고 있는 반면, 투자유치 기업 등은 지방세 감면 혜택뿐 아니라 투자보조금 지원, 고용보조금 등 각종 혜택을 받고 있다.

특히 투자보조금의 경우 이전기업은 투자금의 10%내에서 50억 원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지만 기존기업은 10%에 20억 원 까지만 지원돼 역차별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하림, 다논, 하이트의 투자 사례는 외부 수혈도 중요하지만 소위 ‘집토끼’를 챙겨야 하는 이유가 왜 중요한 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