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 여파로 운영난에 시달리면서 민간·가정 어린이집은 문을 닫는 반면 노인복지시설은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다.

올해의 경우 원아감소와 폭은 더욱 심각해 3월 개학이전에 70여 곳이 문을 닫으며 운영난과 저출산의 심각함을 보여줬다.

'고령 사회'가 다가오면서 노인복지시설인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지난해 말 기준 848개소로 전년과 비교해 35곳이나 늘었다고 한다.

저출산·고령화로 어린이가 줄고 노인은 늘어나는 '인구 역피라미드 시대'가 시작된 지 이미 오래다.

생산력은 떨어지는데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어나면서 사회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어린이집 100곳이 문을 닫았다.

2017년에는 65곳, 2016년에는 61곳이 폐원해 3년 사이 226곳의 어린이집이 사라졌다고 한다.

폐업으로 이어지는 곳은 대개 가정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으로 출산율 저하에 따른 원아 감소와 최저임금 인상 여파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또 학부모들이 믿을만한 어린이집으로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을 선호하면서 자연스럽게 폐업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대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계속 늘어나면서 도내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늘어나고 있다.

도내 노인인구는 35만 8천410명으로 전체인구 183만 6천832명의 19.51%를 기록, 전년 19.0%보다 0.51%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17개 시도 평균 14.3%보다 5.21%포인트 높은 수치로 향후 2~3년 내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65세 이상 노인이 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불린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25∼49세의 핵심 생산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의료비 등 사회적으로 부담해야 할 비용도 커지고 있는 상태다.

저출산 고령화는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전북은 조금 더 빨리 진행되는 양상이라는 게 전문가의 입장이다.

결국 출산율 저하는 아이를 제대로 키울 수 있을지 모를 부모들의 불안심리가 작용한 건 아닐까?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어떤 해법들을 내놓아야할 것인가? 이런 불안심리를 조금이라도 덜어줄 수 있는 각종 제도와 정책의 착근만이 저출산 고령화를 이겨내는 길은 아닐까.

여기에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해 주거와 안정적 일자리 마련 등 고용 안정정책을 펼쳐 나갔을 때 아이의 웃음소리, 그리고 노년의 편안함이 자리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