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청산을 위한 전주시의 작지만 의미 있는 실천이 주목 받고 있다.

전주시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일제 잔재인 덕진구 '동산동'의 명칭 변경에 발 벗고 나섰기 때문이다.

'동산동'이라는 명칭이 지난 1907년 미쓰비시 기업 창업자의 장남 이와사키 하시야(岩崎久彌)가 자신의 아버지의 호인 '동산(東山)'을 따 창설한 동산 농사주식회사 전주지점이 위치했던 데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동산리'로 변경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최근 동산동 주민과 시의원,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명칭 변경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고 한다.

이 위원회는 명칭 변경에 대한 다양한 주민홍보를 펼치고 다음달 3일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명칭 변경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을 듣고 동산동에 대한 새로운 동 명칭에 대한 두 차례의 세대별 주민설문조사, 관련 법 검토 등을 통해 명칭을 변경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일련의 활동을 통해 100여년 넘게 사용되어온 ‘동산동’이라는 일제 잔재 섞인 동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사실 이 ‘미쓰비시’ 기업은 일제 강점기 미쓰비시중공업으로 그 악명이 높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일제강점기인 1944년 5월 우리나라에서 불과 13~14세의 나이 어린 소녀 140여명을 나고야에 소재한 항공기 제작소에 끌어가 일본이 패망하기 전까지 강제노역을 시켰던 전범 기업으로 유명하다.

미쓰비시는 오늘날까지도 일본의 사법부 뒤에 숨어 지금껏 제대로 된 사과 한마디 없다.

지난 2008년 도쿄 최고재판소는 1965년 한일협정을 이유로 “과거사 문제는 모두 매듭지어져 있다”는 어처구니없는 판결을 내렸고, 81세 양금덕 할머니 등 근로정신대 할머니 7명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기각했다.

미쓰비시는 도쿄 최고재판소 판결의 결과를 토대로 “어떤 협상도 응할 생각이 없다”며 배상책임도, 용서도 구하지 않고 있다.

미쓰비시가 오늘 시간이 지났음에도 용서 받지 못하고 지금껏 회자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더욱이 식민 지배를 부정하고 있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에 재계를 대표하는 자금줄 역할을 해왔고, 임금마저 64년 동안 돌려주지 않고 있다.

이런 그들의 잔재가 서려있는 명칭이 줄 곧 우리 주변에 있었다는 건 참으로 난센스다.

상당기간 불편이 예상되고 예산도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선조들이 그렇게 목숨 바쳐 지키려했던 민족정신.

세대를 이어 이를 고수하려는 행정의 실천은 작지만 의미 있는 행보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