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금융중심지’로 향해가던 전북의 꿈이 물거품 되는 것인가? ‘지정 보류’에 대한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해석이 분분하다.

일단 전북도는 기자회견을 열고 금융기관 집적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이후 재도전 의사를 피력했다.

금융타운 조성과 금융기관 집적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여건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갖추고 지정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기대가 컸기에 실망도 컸던 것일까.

대통령 공약 사업이었기에 많은 도민들이 ‘설마’했고, 그 설마가 결국 사람 잡고 말았다.

국회 김광수 의원은 이번 결정을 총선을 앞둔 부산·경남 눈치보기로 규정했다.

청와대와 민주당이 전통적인 표밭인 전북보다는 총선 전략지역인 부산·경남을 우선적으로 감안해 정치적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같은 당 박주선 의원은 한술 더 떠 “호남서 모이먹고 영남에다 알 낳는 정권”이라 조롱했다.

그러나 감정적 어조는 잠시 접어두자.

책임 공방을 벌이기보다는 면밀한 분석이 더 필요해 보인다.

추진위는 세 가지 이유를 들어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먼저 전북혁신도시가 국제 금융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한 여건이 덜 성숙했다고 봤다.

현재 혁신도시에는 금융중심지로서 위상을 가질 만한 금융 관련 기관이 기금운용본부가 유일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논리로 이전한 데다 이 역시 부작용이 많다고 보고 있는 게 사실이다.

보고서도 전북이 국제 금융중심지로 성장하려면 금융회사들이 자발적으로 이전하고 집적화할 정도의 종합적 생활여건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전북혁신도시가 추진하는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도 근거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 미래에 대한 비전도 부족했다는 평가다.

세계 주요 금융중심지가 핀테크 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등 디지털 금융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전북혁신도시도 이와 관련된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서울과 부산을 양대 축으로 하는 지난 10년간 금융중심지 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3 금융중심지 신규 지정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개 도시에 경쟁력을 집중해도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모자랄 판에 서울, 부산에 이어 전북까지 그 전력을 쪼개는 게 과연 타당한 것이냐는 논의가 분명 있었을 것이란 게 필자의 개인적 추측이다.

이번 지정 보류의 의견을 면밀하게 분석해 타산지석 삼아 재지정을 위한 도약의 발판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