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가 157개 전국 하위권
전남 체험단지 대조 전북낙후
식품클러스터 연계 활성화를

전국 자치단체마다 앞다퉈 곤충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지만, 도내 기반은 명맥만 유지하고 있어 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곤충도 상품이라는 산업으로의 인식이 부족한 탓이다.

이에 곤충종자보급센터 설립과 식품클러스터를 활용한 곤충 상품화에 전북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경우 2017년 말 기준 157개 농가가 곤충을 생산·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산업 초기단계인 2014년 12농가에 그치던 것에 비해 3년 만에 1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전국 9개 도 단위 기관 가운데 전북은 제주(27곳), 강원(97곳)에 이어 곤충사육농가가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580곳), 경북(412곳), 경남(276곳), 충남(214곳) 등에 비하면 전북의 곤충산업 기반은 영세한 수준이다.

곤충산업 육성정책에 발맞춰 전국 지자체들이 앞다퉈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 곤충사업의 보다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남도의 경우 전국에서 처음으로 곤충생산체험단지를 만들고 곤충사육 농가들도 협의체를 구성키로 하는 등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반해 전북 곤충 사육농가 시설들은 대부분이 비닐하우스와 판넬 일반사육사와 콘크리트 등으로 영세하고 낙후돼 있다.

일각에선 곤충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선 농가 수익을 위한 구조 창출보다 곤충종자보급센터나 산업화를 위한 연구 기반 마련에 개발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도의회 김기영(익산3)의원은 " 범위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곤충종자보급센터를 설립할 경우 경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전북도가 선제적으로 예산 확보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곤충을 식품사업과 연계하기 위한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용방안도 제안했다.

김 의원은 "곤충식품은 혐오식품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음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 상품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연계한 상품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