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세트 공간활용 높여
어설픈 노래-잡음 거슬려
상설공연으로 부적합해

전북문화관광재단의 뮤지컬 ‘홍도1589’가 오는 19일 첫 선을 보였다.

이번 작품은 지난해 초연한 뮤지컬 ‘홍도’에 새로운 스토리를 추가하고 음악을 재편곡해 업그레이드했다는 게 재단측의 설명이었다.

지난해 미진한 부분이 많았던 터라 올해는 어떤 작품을 선보일지 궁금증을 품에 안고 공연장을 찾았다.

제3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인 ‘홍도’를 원작으로 한 이번 작품은 지난해의 경우 검증된 원작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허점을 들어낸 바 있다.

특히 400년을 살아가고 있는 홍도의 설정은 너무 작위적이고, 홍도와 자치기의 사랑 이야기도 주변 이야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뮤지컬임에도 불구하고 출연진들의 어설픈 노래실력도 지적대상으로 떠올랐다.

올해 무대는 시행착오 끝에 여러 허점들을 보강한 흔적이 돋보인다.

우선 공간의 활용도다.

작은 무대임에도 조명과 세트를 활용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였다.

특히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장면이 매우 부자연스럽던 지난해와 달리 매끄럽게 진행이 되면서 제작진의 수고스러움까지 엿볼 수 있었다.

장면 장면의 자연스런 연결은 전체적 스토리 전개와 큰 연관을 맺는다.

절정부로 치닫다가 급작스레 막을 내리는 느낌을 줬던 지난해와 비해 큰 줄기를 잃지 않은 채 뼈대를 온전하게 맞춰나간다.

웅장하게 펼쳐지는 음악은 그 뼈대에 살이 되고 있으며, 주인공 못지 않은 조연들의 활약과 웃음코드는 작품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재연작품인 만큼 커다란 하자는 없어 보인다.

다만 몇 몇 사소한 점들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일부 출연진의 마이크 잡음이 귀에 거슬렸고, 새롭게 도입했다던 5.1 입체음향 시스템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느낌이다.

입체음향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실제 음악장르가 입체음향에 어울리지 않아 그 느낌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모양새다.

가장 마음에 거슬리는 것은 상설공연에 이 작품이 어울리냐는 문제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으로 작품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선 이견은 없다.

하지만 결코 가벼운 마음으로 접할 수 없음을 고려할 때 2년 연속 무대에 올리는 것은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대목이다.

객석을 차지하는 관객들이 대부분 관광객들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우리 지역을 소재로 하되 좀 더 가벼운 마음으로 접할 수 있는 주제 발굴이 아쉬운 대목이다.

이 공연은 오는 12월 7일까지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전북예술회관 공연장에서 만날 수 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