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 하면서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예산과 인력 등이 부족해 산업 활성화가 더딘데다 행정의 미혼적 행보로 답보상태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본보는 전국 자치단체들이 반려동물 시설을 확충하며, 산업화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전북은 임실 이외에는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는 곳이 없다고 꼬집었다.

사실 반려동물 산업은 송하진 도지사가 민선 7기 공약사업이기도 하다.

당시 송 지사는 ‘동물교육보호센터’ 조성을 비롯해 ‘반려동물 놀이터’, 정례문화 등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히는 등 활성화 노력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도정은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과는 반대로 가속도를 내지 못하고 터덕거리는 모양새다.

국내 반려시장 규모는 해마다 10% 이상 성장하고 있어 오는 2027년에는 6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일찍이 반려동물 산업의 가능성을 예상하고 지방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경기도 반려동물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해 지원정책을 추진하기도 했다.

반려동물산업 분야 창업자와 중소기업을 발굴, 육성하기 위해 반려동물 산업 창업지원사업과 용품 사업화 지원사업은 물론 이례적으로 ‘동물보호과’도 신설, 주목을 끌기도 했다.

부산시도 정부가 발표한 동물간호복지사 제도 시행에 발맞춰 내년까지 반려동물간호학과를 신설하고 그에 따른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장년층과 노년층들의 일자리지원을 위해 반려동물관리사 전문가 양성 자격증 교육과 동물의료산학클러스터 유치, IOT기반 반려동물 산업 등을 육성해 반려동물 시장의 다양성을 꾀하고 있다.

이에 비해 전북은 임실군에서 추진하는 반려동물 테마공원 조성과 반려동물 산업 거점지역 육성에 대한 사업이 전부다.

송하진 도지사 공약사업은 인력 부족과 재원마련에 대한 방안이 없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도내 시군에서 반려동물 업무 인력은 0.3명 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시장이 커지면서 지난 2017년 1개 사업에서 지난해 3개, 올해 6개 등으로 관련 사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따라서 반려동물 사업을 육성하기 위한 도의 보다 더 적극적인 행보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