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이 선거법, 공수처법 등을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하면서 전북 선거구 결정이 장기간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도다.

본보는 상황이렇다보니 지역 내 혼란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현역 국회의원과 총선 입지자들의 눈치 보기도 극에 달할 것이란 전망 섞인 기사를 내놨다.

여야 4당의 선거법과 이에 결사반대하는 자유한국당이 강하게 대립하고 있는데다 한국당이 국회 의원정수를 270석으로 감축하자는 안을 제시해 내년 선거제도 논의 과정에서 변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야 4당은 이미 ‘지역구 225석+비례 75석’의 50% 권역별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합의했지만 이 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지는 미지수인 상황.

지역구가 사라지는 의원들은 당연히 반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차라리 비례대표를 없애고 지역구 의석을 270석으로 늘리자는 한국당의 ‘270석 감축안’에 일부 의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이유다.

만일 여야 4당과 자유한국당이 극적으로 합의점을 찾는다 해도 선거구 조정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패스트트랙 숙려 기간이 최대 33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선거구 획정이 언제 될 지는 예측조차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의 기준점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의 획정안이 총선 1년 전인 지난 4월15일 이전에 국회에 제출돼야 했다.

하지만 여야간 대립으로 선거구 획정은커녕 선거제도나 의원정수조차 정하지 못한 채 여야 4당만이 선거법 안을 패스트트랙에 올려놓은 상태다.

따라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은 언제 이뤄질 지 예상하기 어렵다.

문제는 선거제 및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 전북 총선도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된다는 점.

전주의 3개 선거구와 군산 1곳을 제외하곤 어느 지역도 선거구 획정을 자신하기 어렵다.

도내 10개 선거구가 7~8개로 축소될 수 있는데다 이 과정에서 선거구간 통폐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역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를 중심으로 꾸준히 활동하면 되지만 정치신인들은 선거구가 어떻게 꾸려질 지 예측이 어려워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유권자들 역시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며 후보들을 차근히 비교 검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의원 수 역시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이는 자칫 전북 정치력의 약화로 이어질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도 선거구 획정은 빠른 시간 안에 이뤄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