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건설현장의 안전 불감증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소식이다.

지난해 건설 현장에서 숨진 전주지역 노동자들이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고 한다.

특히 사망사고 유형 중 추락사가 무려 60%를 차지했다.

부주의 등 만연한 안전 불감증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국토부가 최근 발표한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보면 지난해 전주지역 건설 현장에서 숨진 노동자는 10명으로 경기 화성과 창원, 고양, 용인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고 한다.

전주지역 산업재해 사망사고는 2017년 3명, 지난해 7명 등 해마다 늘고 있어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현장의 문화가 정착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반면 전국적으로는 지난해 건설현장 사고사망자가 485명으로 전년인 2017년 보다 되려 21명 줄었다.

이중 추락사가 290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소규모 건설 현장 사망자가 261명으로 가장 많았고 민간이 발주한 공사의 사망자가 공공공사보다 3배 이상 높았다고 한다.

기업 별로 보면 포스코건설이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건설 2위, GS와 반도건설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대우, 롯데, 태영, 한신공영, 두산, 대방에서 각각 3명의 산재 사망자가 발생했다.

건설현장 사망사고는 올해도 끊이지 않고 있다.

GS건설 현장에서 지난 3월 3명의 근로자가 추락사했다.

대우건설은 올해 3곳의 현장에서 4명이 목숨을 잃었다.

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나섰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서울 모 아파트 재건축 현장에서 10대 건설사 최고경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추락재해예방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기도 했다.

안전소홀에 관한 징계도 있었다.

고용노동부는 10일 건설현장을 불시감독해 안전사고 위험을 방치한 433곳을 적발, 사법처리하고 80곳에 작업중지 명령, 575곳은 시정명령과 함께 12억4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정부는 극약처방으로 7월 이후부터는 매월 정기적으로 사망사고 다발주체 명단을 공개하기로 했다.

개별 주체들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경영문화를 만들어 가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설비의 노후화 등 건설사 책임에 따른 사고도 존재하지만 개인의 귀책사유에 따른 사망사고를 무조건 건설사의 책임으로 몰아가는 분위기도 억울한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 한 가지는 이러한 정부의 극약처방을 통해서라도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면 그 또한 의미 있는 일일 것이라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