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자리를 늘릴 핵심 대책 중 하나로 '광주형 일자리'를 추진 중인 가운데, 6월 안에 두 번째 도시로 경북 구미가 유력시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도의 발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다음 달 광주형 일자리 같은 지역 주도형 일자리를 추가할 것이라 말했고, 그 과정에서 전기차 배터리 대기업을 유치한 구미형 일자리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정 수석은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활성화해야 한다. 6월 내에는 한두 곳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광주형 일자리 속편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이 경북 구미를 기반으로 한 '구미형 일자리'”라고 밝혔다.

국가산업단지 5곳이 가 있는 구미시는 대구·경북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출신 장세용 시장이 이끌고 있다.

장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줄기차게 정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요청해 왔다고 한다.

이에 지난 3월부터 MS그룹 컨소시엄을 통해 일자리 모델을 추진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추진이 타 시도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반응이다.

군산은 경제를 떠받치던 핵심 기업이 떠나가며 고용 감소와 공동화를 겪고 있는 곳이다.

특히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와 현대중공업 가동중단 등으로 고용이 바닥으로 떨어지며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았다.

지역경제 부활의 돌파구로 제2의 광주형일자리 모델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가 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하는 MS 그룹 컨소시엄은 최근 한국GM 측과 군산공장 매각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6월경 잔금만 처리되면 양도 양수 절차를 거쳐 7월 초 공장 등기이전과 함께 소유권이 완전하게 넘어가게 된다.

본 계약으로 군산공장 매각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됨에 따라 군산공장 조기 재가동을 위해 정부의 상생형 일자리 선정이 절실한 상황이다.

MS컨소시엄의 군산공장이 가동되면 전북형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전북이 중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래 자율전기차 생산기지 구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구미와 함께 전북 역시 정부의 선정 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단정은 금물.

선정 발표가 나기 전까지는 선정된 게 아니다.

마지막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 주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