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한중 경협단지가 6년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는 보도다.

지난 2013년 한중 정상회담에서 처음으로 논의된 이후 이렇다 할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게 그 이유다.

정부는 물론 전북도에서 조차 현안에 손 놓고 있어 당분간 난항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우리 정부는 중국 장쑤성과 새만금 한․중 산업단지에 대한 제반 협력 확대를 골자로 하는 ‘경제․무역 협력강화에 관한 양해각서’까지 체결, 우호적 분위기가 한 층 고조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협약 체결 이후 양국은 그 실행방안을 마련할 실무그룹을 구성하거나, 회의를 정례화 하겠다는 등의 제대로 된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알맹이 없는 협약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당시 중국 장쑤성 당서기도 전북을 방문, 자매결연 25주년을 맞아 이달 말 중국으로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던 만큼 도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달 중순에는 차관급 협의회가 예정된 만큼, 한중경제협력단지가 의제로 올라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청도 있다.

송하진 지사도 실국에 정부와 중국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차관급 협의회를 개최하는 등 한중 경제협력 추진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언급한 뒤 경제협력단지에 대한 의제화와 협력방안 등 아이템을 발굴해달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새만금 한중경협단지는 애초 지난 2013년 12월 발표된 것으로, 한국측과 중국측 공기업, 그리고 민간회사 등이 시행사로 참여해 새만금에 2020년까지 사업비 3998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었다.

양국 간 FTA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다.

국내 후보지론 새만금이 단독 지목됐고 중국측은 산둥성 엔타이시, 장쑤성 엔청시, 광둥성 후이조우시 등 모두 3곳이 꼽혔다.

하지만 이후 논의가 구체화되지 못하고 사드 배치 문제로 장기간 교착 상태에 빠지는 등 추진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와 중국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차관급 회의를 개최하는 등 우호적 분위기가 조성된 만큼, 내실을 꾀할 수 있는 진전안이 나올지 주목되고 있다.

정부의 양해각서 체결 등 잇단 훈풍에도 불구, 지난해 사드이후 악화된 한중 관계, 그리고 최근 중미 관계까지 겹치며 한중경협단지는 사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교착상태에 빠진 한중경합단지를 이제는 사실상의 중단으로 봐야 하는 지경에 온 것일까? 언제까지 질질 끌고만 있을 수는 없다.

도는 물론 정부의 외교노력을 비롯한 특단의 대책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