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해마다 7조 원 안팎의 국가예산을 확보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연구개발비는 극히 적어 혹 전북의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R&D 분야가 소홀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자동차와 조선 등 기존 지역산업이 쇠퇴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신산업 발굴 연구가 절실하지만, 취약한 과학기술 기반을 해소시킬 국가 연구개발비 확보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발표한 2020년 국가예산 가운데 연구개발비 예산은 전북도 예산의 3배나 되는 20조5000억 원에 달하는 만큼, 이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본보의 기사의 요지다.

그도 그럴 것이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각 시도별 R&D 예산 지원 현황’에서 전북은 턱없는 예산 규모만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해당되는 5년여 기간 동안 전북에 지원되거나 확보한 R&D예산은 전체 지원 규모의 1.4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2013년 120억 1600만원(1.02%) 이었던 전북 R&D 예산은 2016년 229억 원(1.65%), 2017년에는 208억원(1.47%)로 거의 변화가 없는 수준이다.

이처럼 연구개발비 비중이 1%대에 머물고 있어 전북이 먹고 살 수 있는 뿌리산업을 과연 만들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 든다.

전북도는 신규사업 발굴을 위해 지난해부터 국책사업 포럼과 전북연, 시군과 함께 정책협의회를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434건 7천751억원 규모의 신규 사업을 발굴, 국가 예산확보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상용차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지능형 농기계실증단지 구축, 고부가 미래성장형 발효효소 산업 육성, 새만금스마트시티 조성,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등으로 연구개발분야가 한정돼 있는 상태다.

포스트 새만금 등 전북발전을 견인할 대형프로젝트나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대형 연구개발 분야 신규사업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R&D분야의 대형 신규사업 발굴은 이 분야 전문가 그룹인 지역 대학 연구진들이 주축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신규 정책협의회에 이들을 참여시켜 공조를 확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미래형 R&D분야 사업 발굴이 이뤄져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정부에는 20조원 대에 달하는 연구개발 사업비가 존재한다.

이번 기회에 1%대에 머물고 있는 전북의 연구개발 능력을 한층 배가시킬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