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경쟁력이 최대 관건
민주, 경선 후보선출돼도
본선 당선가능성 희박땐
전략공천 후보교체 가능

미래당 내홍 당존립 기로
평화당 지지율 하락해매
제3지대로 지각 변동땐
민주와 일대일 대결구도

전북의 여야 정치권이 내년 21대 국회의원 총선 모드로 돌입한 가운데 앞으로 주목할 총선 변수는 무엇인지 정가 관심이 모아진다.

변수에 따라 선거 구도가 바뀌게 되는데 여야 정당의 현역 의원이나 지역위원장 모두 최종 공천장을 받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다.

현 상태에선 여야의 대진표가 거의 짜여지는 분위기이지만 도내 10개 선거구를 기준할 때 민주당은 전략공천 시도가, 야권은 정계개편 여부에 따라 대진표가 확 바뀔 수도 있다.

21대 총선 공천 가도의 최대 변수인 2대 이슈를 여야 정당별로 나눠서 전망해본다.
/편집자주



/여당/ 막판 전략공천 등 공천장 확보 장담하기 이르다

과거 주요 선거에서 증명됐듯 중앙당 핵심부에서 공천 결과를 바꾸면 거기에 대응하는 방법이 사실상 없다.

중앙당 공천심사와 최고위원회 등 당의 핵심 기구에서 전략공천을 결정하면 그 결정이 그대로 지켜지는 게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경선을 통해 공천을 받았다 해도, 후보 등록까지는 그 어느 누구도 본선 출마를 장담할 수 없는 이유다.

내년 21대 총선거를 앞둔 전북은 정치적 환경이 매우 특수하다.

민주당은 고공 지지율에 힘입어 도내 전 지역구 석권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천장을 받기 위한 후보들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그러나 문제는 민주당의 공천장을 받는다고 해서 민주당 희망대로 본선에서 당선되느냐는 데 있다.

내년 총선거의 경우 전북은 '당이냐, 인물이냐'의 대결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도민과 유권자들은 전북의 미래를 위해 힘있고 역량있는 인물을 선출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따라서 정당지지율 뿐만 아니라 개인적 역량도 뛰어나야 당선될 수 있다.

지난 20대 국회의원 총선의 전북 이슈는 '호남 정치 복원과 전북 정치 부활'이었다.

중앙 정치권내에서 전북 목소리가 약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강력한 인사를 국회로 보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선거에서 사실상 지역의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참패하고 녹색바람을 등에 업은 국민의당이 대승을 거뒀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내년 총선거 역시 정당 바람보다는 선거 이슈 그리고 후보의 경쟁력이 선거 최대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은 20일 현재 도내 10개 선거구 중 군산을 제외하곤 경쟁 후보군의 윤곽이 대략 나와 있다.

각 선거구별로 2~4인의 도전이 예상된다.

문제는 민주당 경선에서 후보로 선출됐다 해서 본선 당선을 장담할 수 있느냐에 있다.

실제로 도내의 지역구 의원 중 8명이 야권 소속으로 이들은 지난 3년 여, 지역을 샅샅이 훑어 왔다.

야권에선 “이들 중 4~5명은 인물론을 앞세워 21대 총선에서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따라서 민주당이 이들 야권 현역을 꺾기 위해선 당 공천 후보의 역량이 매우 뛰어나야 한다.

내년 선거에서 정당 지지율에 기대, 본선 승리를 구하는 건 처음부터 지고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 안팎에선 도내 몇 선거구는 선거 막판까지 전략공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후보가 ‘권리당원 50%+안심번호 50%’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데 이 방식은 조직과 인지도가 높은 인사가 후보로 선출되는 데 유리하다.

하지만 이같이 탄탄한 조직표로 선출된 후보가 본선에서 야권 현역을 꺾을 수 있는 지에 대해선 이견이 적지 않다.

따라서 후보로 선출됐다 하더라도 당선 가능성이 희박하면, 후보 등록 이전에 당 후보를 전격적으로 교체할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전략공천을 시도한다 해도, 교체된 후보가 탈당 후 무소속 출마 외에는 달리 하소연할 곳이 없다는 점도 중앙당이 전국 선거 차원에서 전략공천을 시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야권/ 평화당, 바른미래-무소속 등 제3지대로의 정계개편

야권도 상황이 복잡하다.

야권의 현역 의원들은 인물론으로 민주당을 꺾겠다는 의지를 보이지만, 정작 중앙당 상황이 썩 좋지 않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깨지느냐 봉합되느냐라는 중차대한 기로에 서 있고 특히 민주평화당은 지지율이 바닥을 헤매고 있다.

전북의 관심은 이들 두 야당 소속 의원들의 경쟁력이 만만찮다는 점에 집중된다.

민주당에 맞서 어떤 선거 구도가 형성되느냐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전 원내대표와 정운천 전 최고위원 등은 바른미래당 내홍의 봉합 또는 분열 여부에 따라 당적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두 의원은 바른미래당 당적으로 내년 총선에 출마하겠다고 말했지만 당이 어떻게 될 지를 알 수 없다.

만일 바른미래당이 분열되면 김관영 의원은 호남권 주축 정당으로 합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운천 의원은 보수 성향이지만 전주을 지역구의 특성상 무소속 또는 새로운 정당에 합류할 수도 있다.

이들 두 의원이 ‘부담’없이 총선에 나서는 방안은 제3지대가 될 수 있다.

제3지대가 능력과 파워를 갖춘 인사들로 모아지면 내년 총선에서 또 한번 인물론으로 승부할 수 있다.

요즘은 바른미래당보다 민주평화당 상황이 더 복잡하다.

민주평화당은 지도부내 갈등에다 전주광역시 추진론을 놓고 당 의원들간 확연한 입장 차를 보이고 있다.

실제, 정동영 대표와 유성엽 원내대표 그리고 박지원 천정배 조배숙 황주홍 등 중진들은 당 진로를 놓고 이견이 상당하다.

특히 정동영 대표가 박주현 수석대변인을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한 이후 이러한 갈등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다 전북은 박주현 수석대변인이 ‘전주+익산+완주’를 묶는 전주광역시론을 주장하면서 다른 의원들이 대부분 반대하는 등 균열이 일고 있다.

전주광역시 추진에 대해 다른 의원들은 현실성이 없다, 공중에 떠 있는 안이다 등으로 일축한다.

결국 당 지도부 갈등과 전주광역시를 둘러싼 소속 의원들 간 이견 차를 어떻게 해소할 지가 관건이다.

갈등이 확산되면 이는 당 분열 그리고 제3지대 구축이라는 새로운 그림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정동영 대표가 어떤 리더십을 보일 지가 관건이다.

정 대표가 이 혼란상을 잘 극복하면 평화당 중심의 선거전이 치러질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제3지대가 불가피할 것이다.

제3지대가 구축되면 바른미래당의 김관영, 정운천 그리고 무소속 이용호 의원도 행보 결정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수 있다.

이들 주변에선 평화당 진로에 상당한 관심을 갖는 분위기로 파악된다.

내년 전북 총선거가 민주당 대 다수 야당의 복잡한 선거전이 될지 아니면 민주당 대 제3지대간 사실상 일대일 구도가 될 것인지가 결국 총선 최대 변수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