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83만명比 13.4%↓
65세 고령인구 43.9% 추계
총부양비 45.7→110.4 껑충
젊은층 유입 대책 세워야

2047년 전북인구는 158만 명밖에 되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젊은 세대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초고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례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에 따르면 2017년 도내 인구는 183만명으로 집계된 가운데 2030년 172만명, 2040년 165만명, 2047년 158만명으로 추계됐다.

30여 년 동안 13.4%(24만6천명)의 인구가 감소하는 셈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이 기간에 인구가 증가하는 곳은 세종, 인천, 경기, 충북, 충남, 제주 등 6곳밖에 되지 않아 평균 인구증감률(-4.8%)은 마이너스를 기록, 이에 전북은 상대적으로 인구감소 속도가 빠르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어 시도별 중위연령 및 인구피라미드를 보면 출생아수 감소와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전북의 중위연령은 2017년 44.5세에서 2047년 60.9세로 향후 30년간 16.4세 정도 높아질 전망이다.

전국 평균 중위연령은 2017년 42.0세, 2047년 56.8세로 전북은 이미 평균을 앞지르고 있는 데다 17개 시·도 중에서도 4번째로 중위연령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구피라미드는 항아리형에서 점점 역삼각형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전북이 늙어가고 있다는 의미로, 전북의 2017년 고령인구는 34만명인 가운데 베이비부머가 65세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에 고령인구는 44만명으로 전체인구의 25.2%를 차지, 2047년에는 무려 43.9%를 차지할 것으로 추계됐다.

2017년 대비 25.4% 급증한 것으로, 2047년 고령인구 비중은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46.8%), 경북(45.4%), 강원(45.0%)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85세 이상 초고령인구 비중 역시 2047년에는 9.2%로 전남·경북(9.5%), 강원(9.4%) 다음 순이다.

이와 함께 15∼64세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를 살펴보면, 전북은 2017년 45.7명(유소년 18.6명·고령인구 27.0명)이었지만 2047년에는 110.4명(유소년 18.0명·고령인구 92.4명)으로 껑충 뛴다.

2047년 총부양비가 100명을 넘는 곳은 전북을 비롯해 전남(120.6명), 경북(114.0명), 강원(112.3명), 경남(101.4명) 등 5곳으로 파악됐다.

이는 피부양자 수가 부양자를 역전한다는 뜻이다.

또한,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지수’ 역시 전북은 2017년 144.9명으로, 전남(168.8명), 경북(152.3명), 강원(145.9명) 다음으로 높았다.

고령인구 수가 유소년인구를 이미 추월한 것이다.

더욱이 전북(512.2명)을 비롯한 이들 지역의 2047년 노령화지수는 5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5배는 더 많다는 의미다.

결국, 지역 내 변화, 즉 인구 증가 요인이 없을 경우 전북은 젊은 층의 유입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령화·초고령화 현상이 짙어질 것으로 예상, 이는 곧 지역의 경쟁력 약화를 불러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이런 인구변화에 대비, 즉 지역 경쟁력 높일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각 시·도에서 저출산에 의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며 “특히 전남이나 전북 등의 고령화·초고령화 현상이 짙어지고 있는 만큼 이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