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를 전담할 전국 최초의 부서가 만들어져 전국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전주시가 반려동물, 유기동물, 길고양이, 전시동물 등 다양한 형태의 동물들을 위한 복지 전담부서를 신설키로 했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1일 “반려동물 수가 증가하면서 동물 유기와 학대도 동시에 늘어나고 있다”면서 “시민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조만간 조직개편을 통해 전국 최초로 동물복지과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동물복지과는 시가 지난해 수립한 동물복지 종합계획과 신설된 동물복지 조례에 따라 ‘전주형 동물복지’ 여건 마련에 집중하게 된다.

또 전주시 동물복지 실태조사와 국내·외 관련 분야 동향을 토대로 분야별 추진과제와 이행전략을 수립하고 각종 정책사업을 발굴하는 등 동물복지 실현을 위한 총괄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전주형 동물복지는 반려동물, 유기동물, 길고양이, 그리고 동물원 내에 사육되고 있는 전시 동물, 시민참여 등 5개 분야를 다루게 된다고 한다.

이번 전담부서 신설로 반려견 놀이터와 유기동물보호센터가 생기게 되고, 길고양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보호·관리할 수 있을지 그 표준매뉴얼도 만들어진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생태동물원으로 탈바꿈한 동물원 내 다종다양한 동물들의 복지를 위한 기준도 마련된다고 한다.

이런 내용들이 단순히 행정의 추진만으로 가능할까.

시는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통해 확대되고, 활성화의 길로 접어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무엇보다 시민참여 확대를 통해 속도감을 낸다는 것이다.

다 좋지만 여기서 문제하나가 뒤따를 수 있다.

사람도 복지가 제대로 안 되는 데, 동물복지에 행정력을 쏟는 게 과연 온당한 것이냐는 것이다.

물론 동물복지 못지않게 사람의 복지 문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추진되어왔고, 해태할 수 없는 행정의 주효한 의제임은 분명하다.

그렇다손 치더라도 동물, 특히 개와 고양이에 대해 반감을 가진 여러 시민들이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사람에게 써야할 예산이 동물들의 복지를 위해 쓰여진다고 하면 좋아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이런 시민들의 이해와 요구를 어떻게 관철시킬 수 있을 것이냐 하는 것이다.

동물복지에 앞서 선행되어야할 또 다른 문제는 바로 이런 이들에 대한 시대적 변화와 발상의 전환을 어떻게 이끌어낼 것이냐 하는 것이다.

결국 동물의 복지는 그 동물을 키우고, 기르는 사람에게 더 높은 질적 수준의 서비스를 가져다준다는 측면에서 폭넓은 의미의 ‘주민 복지’인 셈이다.

동물복지가 곧 사람의 복지임을 알려내는 일은 이후 동물복지 전담부서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