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로 촉발된 일본의 반도체 재료 수출 규제가 국민들의 분노를 폭발시키고 있다.

누리꾼들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경제 제재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복 조치를 요구하는가 하면, 일본 전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지역 지정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4일부터 일본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핵심소재의 한국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도내 지역 전자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반도체 기판 제작에 쓰이는 감광제인 리지스트, 반도체 세정에 사용하는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의 한국 수출이 규제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수출 규제 대상에 오른 품목은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소재들로 삼성과 LG 등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도는 일단 수출규제 조치가 당장 지역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한 조치도 속속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삼성과 LG, SK하이닉스 등에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부품을 납품하는 도내 반도체 협력업체는 모두 12곳.

수출액은 1.8% 수준이다.

이 가운데 규제품목이 제품생산에 직접 연관되는 전자집적회로의 수출비중은 전북수출액의 0.2% 밖에 되지 않아 지역경제에 미치는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광전자’의 경우 리지스트 소재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3개월 정도의 비축물량이 있어 단기적인 피해는 없지만, 장기화될 경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내 기업들 대부분은 현재 보다는 일본 정부가 추가조치에 들어갈 경우를 더 우려하고 있다.

기업들의 이 같은 우려는 30년 이상 한·일 양국의 정치와 경제를 동시에 분석해온 ‘한국통’ 후카가와 유키코 와세다대 경제학부 교수의 말과도 상통한다.

이 교수는 한 매체를 통해 “일본 정부의 보복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본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다양한 보복 카드 중 딱 1장을 꺼낸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유키코 교수의 말처럼 이번 조치는 단순히 일회성 조치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매우 높다.

행정 역시 이번 일본의 보복 조치를 단순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산업에 국한하지 말고, 이후 추가될 수 있는 보복 조치들은 무엇이 있을 수 있는지 파악하고 발 빠른 대처로 피해를 최소화 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