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 소재-바이오화학분야
강화 영역 확대 2023년까지
1,663억 투입 11개사업 추진
융합소재 상용화지원 실시

정부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바이오 헬스 육성 계획을 밝히면서, 자치단체마다 경쟁에 뛰어들고 있어 후발주자인 전북도의 발빠른 대응이 절실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연간 4조원을 연구개발(R& D)에 투입해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와 미래형 자동차를 이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간 2조 6천억원 규모의 바이오헬스 투자액을 2025년 4조원으로 확대하고 일자리도 30만개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도는 충북과 대구경북에 비해 바이오산업에 뒤늦게 뛰어들면서 산업 구조가 약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화 전략이 없어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산업 육성기반 구축과 체질 강화에 나서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노인 인구 증가로 의료비가 상승하고, 사람들이 질병과 노화에 관심이 커지면서 바이오 헬스 산업이 국내외 유망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바이오 헬스산업은 1인당 부가가치 금액이 일반 제조산업의 2배에 이르고, 경제적인 파급효과도 발생 매출의 3배에 달하고 있어 스타트업의 창업과 보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는 3일 제약·의료바이오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하고 도내 기업의 경쟁력이 있는 농생명 소재, 바이오 화학 분야 등을 강화하면서 바이오헬스 분야까지 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3년까지 1천663억원을 투입해 바이오 융합소재, 화장품, 의료기기 등 11개 사업을 추진, 바이오산업의 체질을 강화하겠다는 각오다.

이와 함께 바이오헬스 분야인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와 ‘생체적합성 신소재 의료기기산업 육성’도 개별산업으로 꾸려나갈 방침이다.

특히 산업(기업) 구조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2년까지 바이오 융합소재 상용화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도내 바이오 기업의 상용화와 생산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연간 7~8개 기업지원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전북도만의 특화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워 부가가치를 만들고 기업이 상용화 제품을 만들어 일자리 창출까지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어서 결실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바이오 분야를 전북 신산업으로 발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산업들이 일정 부분 체제를 갖추는 게 더 중요하다”며 “현재 그린바이오(식품 등)를 제외하고 다른 분야에서는 기초단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하나씩 쌓아놓으면 어느 순간 넓힐 수 있는 영역이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