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8개월 앞으로 다가오며 권리당원 확보를 위한 정치권의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는 소식이다.

권리당원을 누가,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당락이 좌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정보 노출을 우려해 수집한 당원 명부를 당에 제출하는 시점을 조율하고, 사전 당비 납부를 막기 위해 휴대전화 통신사를 허위 기재하는 등 눈치 싸움도 치열하다고 한다.

권리당원이 그 권리행사를 위해선 권리행사 시행기준일인 2020년 2월1일로부터 6개월 전인 오는 8월 1일 이전에 입당을 해야 하고, 2020년 1월 31일까지 당비를 6회 이상 납부해야 한다.

마지막 입당·당비 납부 시기인 8월 1일이 다가오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와 유사한 ‘권리당원 50%+국민경선 50%’로 당원과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는 총선 경선 룰을 채택하면서 총선 경선 과정의 당원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권리당원은 절반의 선택권을 갖게 될 뿐 아니라 국민여론조사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권리당원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경선과 공천의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

신인 가점이 크게 늘어난 것도 당원 확보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다.

현역은 무조건 경선을 치르고, 전략공천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는 경선을 무조건 치러야만 하는 구조다.

결국 자신에게 표를 던져줄 권리당원이 많을수록 이길 가능성이 커진다는 얘기다.

확보한 당원이 꼭 그 후보를 찍으라는 법은 없다.

그러나 일반 여론조사보다 ‘표의 확실성’을 더 보장한다는 점에서 권리당원 확보는 어찌 보면 정치를 하겠다고 뛰어든 사람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사실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평소 보폭을 넓히며 군정과 시정을 담당해온 현직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몸값도 껑충 뛰고 있다.

여러 선거를 거치며 지역 내 입지를 다져온 데다 어떤 후보들보다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단체장들의 활동이 곧 선거운동이 되다 보니 그만큼 권리당원 확보 반경도 넓다.

단체장 캠프 측근들의 몸값이 자연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때문에 지역구 출마 의사를 밝힌 입지자은 너나할 것 없이 이들에게 대느라 눈치전도 한창이라고 한다.

반면 인지도가 낮은 정치신인들은 갑작스런 입당 요구에 지인 또는 주민들의 부정적 시선과 자주 마주한다고 한다.

신인 가점이 크게 늘었다고 하지만 권리당원이 주는 이점과 비교하면 소위 ‘조족지혈’인 것이다.

때문에 권리당원 확보 시기는 지인들이 때아니게 몸살을 겪는 시기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