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기상 관측 시작 이래 111년 만에 폭염일수가 최고치를 찍었던 2018년.

올해는 폭염에 대한 대책들이 제대로 세워진 것일까? 주말인 7일 올해 첫 폭염 주의보가 발효됐다.

지난해 폭염의 쓰라린 경험을 기억하고 있는 도민들은 그래서인지 폭염대비 안전망 구축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행정당국은 예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에 다양한 폭염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도시 숲 조성, 폭염 피해 예방, 응급 의료 시설 확충 등의 안전망 구축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올 들어 전북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 것은 지난 7일이 처음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모두 48명.

온열질환으로 숨진 사람 중 절대 다수는 노인인구로 빈곤율이 높은 노인층은 만성 질환을 앓는 경우도 많아 폭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 되고 있다.

전북에서도 지난해 23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이중 6명은 안타깝게 숨을 거뒀다.

사람 뿐 아니라 닭 209만여 마리를 비롯해 오리, 돼지 등 230여만 마리의 가축이 폭염으로 폐사하기도 했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영국, 체코, 스웨덴 등 북반구 여러 나라에서 최고기온이 경신됐다.

그런데 올해에는 폭염이 예년보다 두 달 일찍 찾아왔다.

지난 주말 내내 전국적으로 33도 이상의 폭염이 지속됐다.

5월 일 최고기온 극값을 경신한 곳이 속출했다.

올해 여름을 어떻게 견뎌내야 할지 벌써부터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폭염과 관련해 가장 뜨거웠던 이슈는 전기요금이었다.

누진제 철폐를 요구했고, 올해는 냉방비 부담을 덜기 위한 전기료 누진제 3개 개편안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에어컨은커녕 선풍기도 제대로 켤 수 없는 에너지 빈곤층,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고통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였다.

더 큰 문제는 폭염이 기후위기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전기요금에 국한된 동안 취약한 주거 환경에 거주한 채 고립된 노인층과 건설현장 노동자들은 질병을 얻고, 목숨을 잃고 있다는 점이다.

올 여름 폭염에 직면할 우리 사회는 전기요금 할인이 아니라 폭염에 대피할 수 있는 대응 체계와 에너지빈곤층의 주거 환경 개선, 노동자들의 안전한 일터 보장 등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에너지 복지 정책, 여기에 덧붙여진 기후 변화 적응 대책인 것이다.

유례없었던 지난해 폭염의 공포를 상기하며 올해는 좀 더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폭염 대책들이 나와 주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