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 차지··· 숙박-음식 48%
연 105만개 창업 80만개 폐업
전북 평균소득 2,220만원
수요기반-산업기반 취약

도내 생활밀접업종 가운데 도·소매업의 과밀수준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도·소매업의 공급이 수요를 넘어 과당경쟁이 심각하다는 뜻으로, 이에 도내 상권 특성에 맞는 수요기반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전국 소상공인 과밀화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북을 포함 전국의 소상공인 수는 307만2천명으로, 2010년보다 32만4천명 정도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생활밀접업종인 도·소매업(27.7%)과 숙박·음식업(20.3%)이 48.0%로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욱이 최근 5년 간 연평균 105만개가 창업을 하고 80만개가 폐업을 하는 것으로 집계, 무엇보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등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생활밀접업종 중심으로 진입과 퇴출이 빈번히 발생하는 ‘다산다사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우선, 소상공인이 가장 많은 업종인 도·소매업을 전국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 기준 전국 도·소매업 소상공인의 평균소득(평균영업이익)은 액 2천536만원으로, 동일업종 근로자 평균임금(약 3천100만원) 수준을 하회했다.

전북은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2천220만원으로, 전국에서 강원(2천115만원), 전남(2천146만원)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2천793만원)였다.

또한, 근로자 임금보다 낮은 소득을 얻는 전국 도·소매업 소상공인 업체 비중은 75.57%인 가운데 17개 시·도 중에서는 강원이 81.05%로 가장 높았으며, 전북과 전남이 각각 80.90%, 80.71%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강원과 전북, 전남이 도·소매업 소상공인 과밀이 심한 지역이라는 의미로, 중소기업연구원은 그 원인을 수요기반과 산업기반 취약이라고 꼽았다.

다시 말해 인구에 기반한 수요의 부족 및 신산업 부족에 따른 산업기반의 약화로 주민들이 생계를 위해 생활밀접업종인 도·소매업으로 지속적으로 진출하면서 과밀화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생활밀접업종으로 분류되는 숙박·음식업의 경우 17개 시·도의 평균소득은 1천881만원으로, 이 역시 동일업종 근로자 평균임금(약 2천200만원) 수준을 밑도는 과밀화 상태로 파악됐다.

그나마 전북의 숙박·음식업 소상공인 평균 소득은 1천976만원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하며 제주(2천221만원), 대구(2천28만원), 경기(2천5만원) 다음으로 높았다.

하지만 근로자 평균임금을 하회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도·소매업 보다는 과밀현상이 약하지만 이 역시 수요보다는 공급이 많은 것이다.

결국, 소상공인이 집중된 생활밀접업종이 과밀화에 따른 과당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경우 수익성의 악화에 따른 소상공인의 몰락,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중소기업연구원은 지역마다 과밀화가 차이가 있는 만큼 정부에서 발표한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을 지역의 상권에 맞게 보완해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지역상권을 성장시킬 수 있는 수요기반의 정책과 지역별 산업 육성 및 신사업 발굴 등 산업기반 정책을 동시에 추진해 인구 유입에 따른 수요 확대를 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