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투자 논란으로 시끄럽다.

경제보복 조치 이후 일본 상품에 대한 불매운동, 일본 안가기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국민적 정서와 다르게 투자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사건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5년간 국민연금공단의 일본 전범기업 투자 현황’ 자료를 인용 보도하며 촉발됐다.

일본 전범기업 투자 금액이 지난해 1조2천300억 원에 달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투자평가액도 2014년 비해 1.6배 증가한 1조2천300억 원이며 최근 5년간 투자금액은 5조6천600억원에 달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공단측은 즉각 해명 자료를 냈다.

해외주식 자산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가 부여하는 벤치마크지수에 따라 투자하고 있으며 일본을 포함한 글로벌 각 지역별 투자 비중도 그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

무엇보다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금액 증가는 공단이 별도의 의사결정을 통해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연금기금의 해외주식 투자 규모가 확대되면서 비례해 증가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공단측은 또 해외주식 투자 중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년째 1%대를 유지하고 있고, 투자 비중은 오히려 축소했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도 각 기업의 수익률은 연기금의 수익률이 아닌 일본 주식시장에서 개별종목의 1년간 주가 등락률이라는 해명이다.

연기금의 전범기업 투자 지적은 사실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8년 보건복지위 이명수 자유한국당 의원도 비슷한 내용으로 지적을 한 바 있다.

연기금이 내놓은 해명처럼 수치화된 내용으로는 전범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확대됐다고 보긴 어렵다.

의원역시 의원으로써 마땅히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문제는 연기금의 해명에도 불구, 감안해야할 부분이 없지 않다는 점이다.

바로 ‘국민정서’다.

국민들이 그러한 투자를 고운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다는 점.

이유야 어찌되었건 국민입장에서 보면 내가 내는 연금으로 공단이 전법기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시기는 그 어느 때보다 일본에 대한 정서가 좋지 않은 엄중한 시기다.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수탈의 역사를 잊지 않고, 투자 해지 등 해제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한다는 것이 국민정서고 공단 역시 이를 적극 따라야할 책임있는 기관이라고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