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국민 과자’로 불리는 새우깡.

이 새우깡 때문에 요 며칠 새 새우잡이 어민들은 물론 군산시 자치단체와 의회, 심지어 국회까지 들썩였다.

이유인즉슨, 제조업체인 농심이 48년 동안 써오던 국산 새우 대신에, 미국산 새우만 쓰겠다고 하면서 어민들이 반발했기 때문이다.

논란 끝에 30일 미국산 사용이 백지화가 되긴 했지만 미국산 사용을 할 수밖에 없는 근거로 내세운 농심측의 말 한마디가 서해안 인접 자치단체들에 적지 않은 불씨를 남겼다는 반응이다.

1971년에 출시돼 80억 봉지 넘게 팔린 새우깡은 연매출만 700억 원이 넘는 그야말로 국민과자다.

이 90그램짜리 한 봉지에는 새우 4마리가 들어가는 데, 그동안 농심은 군산 앞바다에서 잡히는 꽃새우를 주요 원료로 써왔다.

그런데 농심이 군산 꽃새우 대신 전량 미국 새우만 쓰겠다고 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국산 새우를 건져 올릴 때 이물질이 딸려오는 경우가 많아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는 이유다.

한 때 상자 당 9만원을 넘었던 꽃새우 가격이 판로가 막히자 70% 가까이 급락했다.

또 환경오염 문제가 거론되며 서해 전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길까 반발하고 있다.

강임준 시장은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서해연안 환경오염에 따른 농심의 꽃새우 수매중단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확인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회사 측의 일방적 주장일 경우 범 서해차원의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수익을 쫓는 기업에 뭐라 말할 수는 없다.

특히 품질관리를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가서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 원료를 묵묵히 수급해온 어민과의 신뢰를 저버린 것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이라는 역할에 일정 부분 반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

문제는 외산화 사유다.

이물질 유입과 환경오염의 납득할만한 근거와 데이터가 제시되어야 하지만 말 뿐이다.

외산화가 자사의 수익 증대를 가져다주는 요소는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이들도 많다.

차라리 이윤확대를 위한 조처라고 했다면 문제될 게 없었을지도 모른다.

국회까지 나서게 된 이유는 폭넓게는 서해바다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서해가 오염돼 꽃새우 납품을 받지 않았다는 오해가 팽배한 상황이다.

이 점에 대해 농심은 납득할만한 해명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