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硏, 조선시대목판인쇄축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
기반갖춰 원스톱서비스 제공
혁신도시 클러스터용지 활용

완주군 이서면에 호남권 출판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특히 완주군이 조선시대 목판인쇄의 한 축을 형성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출판산업에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조명된다.

6일 전북연구원과 도내 출판업계에 따르면 연구원은 이날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혁신도시 이전 기관인 한국출판산업진흥원과 연계해 호남권 출판 거점으로 전북혁신도시 안에 출판산업 복합클러스터를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완판본문화관과 고전번역원과 더불어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까지 전북은 전통적 출판과 현대적 출판을 위한 산업 클러스터로 가장 적합하다”며 “전북혁신도시 내 클러스터 용지를 활용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서는 완주군 이서면에 위치한 전북혁신도시 내 클러스터 용지를 호남권 출판산업 클러스터 부지로 언급함에 따라 완주 최적지론이 더욱 힘을 받게 됐다.

전북은 조선시대 민간 출판문화를 선도해온 방각본(坊刻本)과 완판본(完板本)의 본향이며, 한국 목판인쇄의 보고였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완주군은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고장으로, 영웅소설인 ‘조웅전’이 19세기 말 구이면 봉성에서 간행됐으며, 보물 제1306-2호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도 완주군 안심사(安心寺)에서 1404년에 간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한국 목판인쇄의 한 축을 형성해왔다.

묘법연화경은 조선 초기 명필가 성달생과 성개 형제가 부모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만든 판본을 바탕으로, 조선 태종5년에 안심사에서 신문 스님이 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역사성과 함께 완주군은 혁신도시 클러스터 용지를 둘러싸고 있고, 인근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국제적 수준의 공공도서관 확충을 자랑하는 등 출판과 연관된 수요기반이 탄탄하다는 평이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