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기조변화 경쟁 심화돼
컨트롤타워 조직-기업 유치
"신산업 전북서 이끌어야"
새만금, 테스트베드로 활용

전북이 재생에너지산업의 중추적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재생에너지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해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환경문제에 대한 대중의 경각심이 높아지고 전 세계적으로 전체 에너지 생산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증가, 정부에서도 이를 본격 추진함에 따라 전북도 이런 흐름에 따른 발전 방향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2일 한국은행 전북본부(본부장 최요철)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재생에너지산업 현황과 전북지역 재생에너지산업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북은 2003년 전국 광역시·도 중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육성정책을 추진했으며, 2008년 지역산업진흥사업 2단계부터 대체에너지 또는 신·재생에너지를 미래 유망 전략산업 중 하나로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기조 변화, 재생에너지 부문의 글로벌 경쟁 심화 등 대내외 환경 악화로 인해 발전단지 건설이 무산 또는 지연되면서 2010년 이후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나마 초기에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집중 육성함에 따라 전북지역 재생에너지 생산량은 2005~2017년 중 연평균 16.8% 증가, 전국 증가율(12.5%)을 상회했으며 전국 재생에너지 생산량에서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3.7%에서 2017년 7.3%로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2018년 기준) 도내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체 수(제조업)는 태양광 7개, 풍력 10개 등 총 17개 수준으로 파악, 이들 기업의 종사자수와 매출액 등 외형적인 규모는 2014년 이후 대체로 정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대외적 환경 악화에 따른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생산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부분이 증가하고 있고, 현 정부 들어 새만금 일대에 대규모 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및 클러스터 조성이 추진됨에 따라 주춤했던 전북 재생에너지산업도 활기를 띨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중장기 발전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 이에 한은 전북본부는 우선, 정부는 물론 지자체에서도 재생에너지 육성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 컨트롤타워를 조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새만금에 태양광 3GW, 해상풍력 1GW 규모의 재생에너지 설비 구축이 추진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이 이곳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전북도에서 재생에너지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 경쟁력 있는 기업 유치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새만금은 국가 소유의 광대한 부지로서 미래 신산업의 테스트베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지인만큼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각종 설비의 성능 평가 등을 위한 연구·실증 중심지로 육성, 이를 위해 국책 연구 기관 등을 유치해 제조와 연구 기능이 양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는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향후 신규 고용창출의 잠재력이 높은 산업으로, 이에 특화된 우수 지역인재를 양성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는 일자리 확대는 물론 전북이 재생에너지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