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전북 현안의 솔루션(Solution)이다.

본보는 2면 톱기사로 이런 제하의 기사를 다뤘다.

대통령이 지역을 방문할 때마다 꽉 막혔던 지역 현안사업들이 적잖게 해결된 데 따른 분석성 기사로 보인다.

이런 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송하진 도지사는 대통령이 전북을 방문할 때를 기회삼아 그동안 실타래처럼 엉커왔던 각종 현안사업들을 풀어냈다는 것.

이는 대통령의 의지와 정부의 지원을 통해 가능했다.

실제 교통오지 전북에 시급한 국제공항 건립, 국가주도의 새만금사업 추진, 재생에너지 비전, 민간육종단지 조성 등 굵직한 지역 현안들이 정부에 요청됐고, 대통령의 방문 때 해결의 실마리를 찾곤 했다는 게 본보의 분석이다.

전북이 4번째 방문이었던 이번에도 문 대통령은 “첨단소재 강국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전북의 새로운 도약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통령의 공약이었음을 강조하며 전북의 탄소산업 메카육성에 대해 “공약을 지킬 수 있게 됐다”고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탄소섬유가 일본의 향후 경제보복 1순위로 손꼽히는 전략물자이기 때문이다.

이번 대통령의 방문으로 탄소소재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전북을 탄소산업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과제도 적잖다.

우선 국가적 차원의 전폭적 지원 등 후속조치가 필요하고,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을 조속한 설립 등 실현 가능한 사업부터 정부가 매듭을 풀어 나가야 한다.

도는 탄소 메카의 큰 그림을 그리고 중앙부처의 투자를 끌어낼 수 있도록 길을 제시해야 한다.

문 대통령이 전북의 탄소산업 카드를 꺼내들고 소재산업에 대한 과감한 지원을 약속한 만큼, 각 부처는 신속히 후속조치를 내놓아야 할 것이다.

이번 방문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유영민 과학기술통신부 장관, 성윤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탄소소재 관련 부처 장관과 예산담당 장관까지 동반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해석되는 대목이다.

범정부적 탄소 플랜을 세울 수 있도록 전북이 그 마중물 역할을 해야하는 것이다.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선진국들도 지방정부의 역할론에 힘을 실어주며, 특화된 전략에 무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작금의 현실은 정부 지원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정부는 핵심소재의 특정국가 의존도를 줄여나가야 하는 절체절명의 순간을 맞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발언으로도 언급된 부분이다.

전북을 넘어, 국가를 위해서도 이번 탄소산업 육성은 중앙정부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시기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