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한 일본이 추가적인 경제보복 조치를 내놓을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는 정부가 최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연장을 거부하며 한일간 갈등의 골이 더욱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때를 같이해 전북 역시 지소미아 종료로 인해 일본이 제2의 경제보복 조치를 어떤 형태로 취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22일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일본이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 것에 대해 양국간 안보협력환경에 변화를 초래한 것이라고 규정하며 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했다.

쾌를 같이해 지방정부 역시 혹여나 불거질지 모를 일본의 조치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번 주 전북중기청 등 유관기관과 도내 업체들이 함께하는 전북도 주관의 대책회의를 열고 분야별 지원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오는 28일부터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가 실시되는 만큼,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한 영향도 이날부터 본격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앙심을 품은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에 이어 추가 규제에 나서는 등 또 다른 보복으로 맞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타 지역에 비해 일본 경제보복의 영향이 미미한 편이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도내 주력산업 전반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도내 주력산업과 관련된 1344개 기업 중 3.5%에 해당하는 47개 기업이 일본에서 핵심소재를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다행히 일본산 소재를 사용하는 기업이 많지 않고 주요 소재와 부품을 최대 1년분까지 비축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다.

그러나 수출 규제품목이 늘어날 경우 도내 산업계는 디젤엔진과 기계류부품, 화학원료, 탄소섬유 관련 기업들의 제품생산에 차질이 우려된다.

대표기업으로는 LS엠트론·동양물산·일진복합소재·휴비스·광전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도는 우선 피해기업의 경영안정과 시설자금 지원, 금융지원에 나서는 한편 부품 등을 국산제품으로 빠르게 대체할 수 있게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수출 규제를 장기적 관점으로 보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가는 자구 노력과 함께, 기업들의 체질 개선을 돕는 업종별 맞춤 지원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현재의 일본은 럭비공과 같고, 한일간 이견의 간극도 상당기간 좁히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런 때 도내 기업들이 일본의 경제 제재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이해 당사자인 기업 뿐 아니라 정부와 자치단체, 행정, 정치권, 더 나아가 지역사회가 함께해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