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5명 중 1명이 노인.

즉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에 해당된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13년 만이라고 한다.

이런 가운데 노인 정책에 대한 재검을 통해 보편적 수요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보는 지적했다.

실제 전북은 전남 22.31%, 경북 20.22%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노인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

이미 2006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전북은 13년 만인 올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20.

01%에 달하면서 7월 말 기준으로 초고령사회가 된 것이다.

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전북의 초고령사회 진입은 일찍부터 예고됐다.

산업화가 뒤져 일자리가 부족한 탓에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나고 시군에는 노인들만 남았다.

도내 곳곳에도 빈집이 늘어나자 전북도가 ‘떠나는 전북에서 돌아오는 전북, 살고 싶은 전북’으로 만들겠다며 발 벗고 나섰지만 185만명도 붕괴됐다.

때문에 초고령사회에 걸맞은 예산 투입과 노인 정책 특화전략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연구원이 발표한 ‘전라북도 사회조사’만 보더라도 도내 어르신들이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하는 인구가 지난해 기준 52.0%나 됐다.

반면 부양에 대한 책임의식은 2008년 44.0%에서 지난해 기준 22.0%로 절반이상 떨어져, 가족의 문제가 아닌 정부와 사회 공동책임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노인을 경제적·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사회서비스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서구 선진국들은 20세기 초를 전후해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영국·독일·프랑스 등은 1970년대에 고령사회가 됐다.

일본의 경우는 1970년에 고령화사회, 1994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를 넘어서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17년 노인인구 14.2%를 기록하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특히 몇몇 자치단체가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2026년경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이란 예측이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가 다섯 중 하나는 노인인 노인의 시대, 고령자의 시대와 맞닥뜨렸다는 것.

노인들에 대한 사회서비스 확대와 양질의 일자리 구축, 빈곤탈피 등 그들의 삶이 질이 나아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책들이 나와야 함은 시대의 요구가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