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2,000억 투입
팔복동 등 66만㎡에 조성
2021년착공 1,100명 고용
1,900억 생산효과 기대해

탄소메카 도시로 떠오르고 있는 전주에 탄소관련 기업들이 집적화될 수 있는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본격화 된다.

전북도와 전주시에 따르면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가 국토교통부의 심의를 거쳐 산업단지로 최종 지정·승인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오는 2024년까지 동산동과 고랑동, 팔복동 일원 66만㎡(약 20만평)에 2000억 여원을 들여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에 따라 9월부터 보상계획 공고와 함께 토지 및 지장물조서 작성, 감정평가 등 보상절차를 이행한 뒤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를 빠르면 2021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산업단지에는 탄소소재는 물론 최첨단 항공부품, 신성장 분야 등 70여개의 기업과 10여개의 R&D(연구개발)시설, 20여개의 지원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또 2만평(6만6000㎡) 규모의 도시 숲을 조성해 전국에서 공원·녹지 비율이 가장 높은 친환경적인 산업단지로 조성된다.

나아가 화학·석유·플라스틱 등 환경오염 유발업종 입주는 원천적으로 제한한다.

특히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동부대로와 탄소산단을 연결하는 진입도로 개설 250억원 ▲탄소산단 내 저류시설 설치 70억원 ▲폐수처리시설 설치 60억원 ▲용수공급시설 설치 30억원 등 총 400억원 이상의 국비 확보가 가능해져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시는 탄소국가산단이 조성되면 전주 발전을 이끌고 대한민국 소재산업을 선도할 탄소관련 기업체 등 약 70여개 기업과 10여개 R&D기관, 20여개 지원시설이 입주해 1100명의 직접적인 고용유발 효과와 약 19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규제와 맞물려 탄소섬유의 폭발적인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번 탄소산단 승인으로 인해 한국탄소융합기술원과 최근 1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힌 효성첨단소재(주)를 비롯한 탄소 소재부터 탄소관련 완제품까지 전·후방 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소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전주 탄소 국가산단 조성사업은 지난 2014년 12월 국토교통부의 지역특화산단으로 선정된 이후, 산단 조성계획 수정·보완 등을 거쳐 2017년 9월 사업의 경제성(B/C)과 정책성, 수익성 등을 따지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이어 전주시는 도시숲 조성과 유해업종 입주 제한 등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는 등 행정력을 총 동원해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후 국토교통부에 산업단지 계획 지정 승인을 신청해 1년 9개월 만에 결실을 맺게 됐다.

환경영향평가 통과를 위해 환경부의 협조를 이끌어낸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를 비롯한 지역 정치권, 전북도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특히 지역구 의원인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전주병)의 경우 환경부 관계자들에게 여러 차례 탄소국가산단 조성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환경부의 협조를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특히 송하진 도지사는 "이번 탄소 국가산단 지정은 전북이 중심이 돼 세계와 맞선 탄소산업을 육성하라는 정부 메시지가 담겼다고 생각한다"며 "탄소 산업을 태동시킨 전북을 세계 수준의 대한민국 탄소산업 수도로 만ㄷ르어 가겠다"고 야심한 포부를 밝혔다.

탄소국가산단 지정을 위해 힘써온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국가산단 지정이 승인된 만큼 이제는 전주와 대한민국 탄소산업 발전을 견인할 기업유치에 초점을 맞춰야할 것”이라며 “향후 산단 조성 과정과 기업유치 과정에서도 전주시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전주가 탄소산업의 중심도시임을 재확인 한 것”이라며 “탄소산단이 국가의 지원 속에서 잘 조성되면 전주가 키워온 탄소산업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로 성장하고, 대일무역적자를 해소할 소재 국산화도 앞당길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김낙현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