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한국을 백색 국가(수출 절차 우대국)에서 제외한 것을 계기로 전북도가 산업 생태계를 재편중인 만큼, 보다 면밀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선도적인 전략과 장기적 접근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전북도는 최근 대응 움직임에 분주하다.

일본 수출규제 장기화를 대비해 뿌리기계, 화학, 탄소,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도내 주력산업 1천628개 업체를 대상으로 일본산 핵심소재 사용과 대체 가능여부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52개 업체가 일본산 소재·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들 업체가 국내 또는 유럽 등 제3국을 통해 일본산(産)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도와 도내 14개 시군도 비상대책반과 피해신고센터 등을 운영 중인데 일본 의존도가 높은 분야들을 중심으로 동향 파악과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또 피해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지방세 등 세금 유예, 수·출입선 다변화와 마케팅 지원 등 맞춤형 도움을 주기로 했다.

대일 의존도가 높은 탄소와 금속·화학 등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한 테스크포스 운영, 관련 연구개발 과제 등의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해외 마케팅 고도화와 수출·입 다변화, 부품·소재 연구개발 강화, 금융지원 확대 등의 지원방안과 산업체와 피해기업 동향을 확인해 유관기관과의 공조 강화로 맞춤형 대응 전략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는 아울러 정부 정책에 발맞춰 새 핵심소재 연구개발에 나서고 탄소 소재 수요처 확대 및 생산·연구센터 구축, 해외 통상거점 확대, 신흥시장 개척 지원, 수출 촉진 및 자문단 운영 등의 방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에 시·도가 마련한 대책은 수십 년째 되풀이 돼 온 정책 구호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는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투자에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까지 체감할 수 있는 재정집행과 가용 정책 수단이 동원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지역 자치단체와 산업계는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지원책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 등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5조 원을 투입한다는 정부의 계획을 지역 산업구조를 바꾸는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특히 첨단 부품·소재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하는 등 산업구조를 혁신할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