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집중
중기 인력변동-훈련수요 파악
도내 고용정책 기초자료 활용
정기조사외 수시수요조사 병행
4개 산업별분과위 현장 창구역할
자동차대체부품네트워크 운영
제조현장 스마트화 등 조사 기획
5년 DB 분석 중장기 수요량 예측

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이 변하고 있다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이 변하고 있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다양한 지역 주체들이 참여해 상향식으로 일자리 정책을 추진,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역 고용정책 개선방안을 발표한 것으로,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이 주도적으로 일자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게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지역마다 다른 산업 구조, 경제적 수준, 인구의 구조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 즉 일자리 정책의 현장감을 높여 일자리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복안인 셈이다.

이처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전보다 일자리 창출 활성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지역 단위에서 각종 일자리 사업과 인력양성사업을 연계·조정할 수 있는 고용·인력 양성의 거버넌스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도내에서는 자연스럽게 전북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위원장 이선홍 전주상공회의소 회장, 이하 전북인자위)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 산업의 수요에 맞는 인력 양성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주도적으로 해왔기 때문.

이에 정부의 고용정책 변화로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전북인자위의 행보를 되짚어 보고, 도내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그리고 있는 청사진에 대해 살펴봤다.

/편집자주 ▲정기·수시 수요조사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인력 공급=전북인자위는 현재 지역의 인력 및 훈련의 수요·공급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훈련을 실시해 채용으로 연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기업의 현장을 이해하고 지역·산업계의 인력 및 훈련 수요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에 필요한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노하우를 쌓아왔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고용·인력 양성의 컨트롤타워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해마다 1천여 개의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력 및 훈련 수요·공급 조사를 통해 수시로 발생하는 인력변동 및 훈련수요를 정확히 파악함에 따른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 연계가 아닌 일자리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업 현장의 인력수요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

더욱이 해마다 지역의 산업구조와 기업의 여건이 달라지는 만큼 이를 한해도 거르지 않고 추진하며 전문성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는 점 또한 성장의 동력이 됐다.

뿐만 아니라 인력 및 훈련 수요조사가 도내 고용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지역 내 인력양성 유관기관과 이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인력양성 신규 사업을 발굴하는 데도 활용됨에 따라 도내 고용정책의 길라잡이라 역할도 하고 있는 셈이다.

전북인자위는 특히, 여기서 그치지 않고 급변하는 지역 내 고용 및 산업 환경 변화로 정기수요조사에 미처 반영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수시수요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정확히 진단을 해야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다는 전북인자위의 의지인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한 50세 이상 중장년층과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장년층 노동시장 재진입 희망 여부와 교육훈련 수요, 중장년층 요구 역량 등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백승만 전북인자위 사무국장은 “일자리 창출이 여전히 화두인 만큼 다양한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중요한 것은 얼마나 현장에 적용, 즉 기업과 구직자들에게 도움이 되느냐는 것이다”며 “이를 위해 수요조사에 집중, 이는 일자리 미스매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기업이 원하는 인력 양성하기 위해 중요한 일이다.

더욱이 지역에 맞는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기도 하다.

해서 이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전북인자위는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향상’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자리 네트워크 활용한 산업계 목소리 반영=전북인자위는 인력 및 훈련 수요조사뿐만 아니라 지역 내 고용 및 훈련 관련 이슈를 발굴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4개의 산업별 분과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고 업종별 지원 방안 마련, 제도 개선 건의 등 밀착형 산업 현장의 창구 역할을 강화해 가고 있다.

특히, 4개 분과위원회 가운데 자동차부품산업 분과위원회는 군산 고용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자동차 대체부품 네트워크’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관련 신사업을 발굴을 위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그동안 실시한 수요조사는 물론 군산의 상황을 집중 점검하며 모은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활동하고 있는 만큼 최근 급격히 침체된 군산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전북인자위는 또, 전북도에서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전라북도 제조현장 스마트화’ 추진계획에 맞춰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주상공회의소, 전북연구원과 머리를 맞대고 있다.

이 역시 산업 현장의 여건을 반영한 지원책을 마련하고자 도내 중소기업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도입 여부 및 계획,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고용전망 및 교육훈련 수요, 도입을 위해 필요한 지원 사업 수요 등에 대한 조사를 기획하고 있다.

도내 산업 현장에 필요한 지원정책을 마련, 이를 통해 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선순환 구조를 확대해 가겠다는 것이다.

▲미래형 인재 육성 통한 일자리 활성화체제 마련=정부에서도 고용정책의 주도권을 지역에 넘겨주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만큼 앞으로 전북인자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도내 일자리 수요 조사에 따른 미스매치 해소, 일자리 지원정책의 연계, 취업을 위한 교육 등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기 때문이다.

이에 우선, 전북인자위는 올 하반기에 지역인자위의 핵심 과업인 수요조사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지난 5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전라북도의 업종, 직종별 추이를 분석하고 중장기 채용 및 직종별 교육훈련 수요량을 예측할 방침이다.

이어, 지역 현안을 반영한 조사와 산업계 네트워크 등 여러 협업 과정을 거쳐 2020년 채용 예정자 및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훈련과정 개발과 일자리 사업 발굴에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북이 미래 일자리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형 인재 양성에 주력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이선홍 위원장은 “전북인자위가 출범된 지 올해로 6년 차에 들어섰다”며 “전북인자위의 고유 기능인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훈련과정 및 일자리 사업 발굴의 역할을 강화해 가는 한편, 미래 변화에 발맞춰 전라북도 일자리 생태계 구축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