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인구 181만8천명 200년비
10만9천명↓ 최근 감소율 0.4%
경제활동 인구 20대 -8만5천명
30대 -7만9천명 감소율 최다
이동사유 직업 41.6% 가장 높아

도내 경제활동인구 소폭 상승
50대-60대 경제활동인구 늘어
60대 24.2%차지 인구 절반 일해
20대 2.6%감소 전국평균比 빨라

2030년까지 도내 인구 감소세
60대 제외 171.8만명 감소 전망
60대 38.8% 전국 4번째 높아
경제활동인구 89.4만명 예측

경제활동참가율 하락 불가피
양질의 일자리창출 최우선 과제
주거환경개선-문화편의시설 등
여성경제활동 참여 확대 위한
공공보육-경단녀 지원책 속도를

전북의 위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전북경제를 받혀주던 주력 산업이 휘청거리면서 문을 닫는 중소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전북경제가 벼랑 끝으로까지 내몰리기도 했기 때문.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에 따른 부작용이 수면으로 떠 오른 것이다.

 물론, 현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던 상용차 중심의 자동차산업을 전기·수소 등 친환경자동차산업으로 빠르게 재편, 세계적인 추세인 신재생에너지산업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등 산업지형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새롭게 확보한 동력이 지역경제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성장 동력에 따른 위기 극복의 가능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체감으로까지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움직임 속에 또 하나의 변화가 바로 인구구조다.

이는 사실, 일자리 환경을 엿볼 수 있는 부분으로, 현재 전북의 위기와 함께 인구가 급감, 특히 젊은층의 탈 전북화가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일자리 환경의 악화로 인구구조가 흔들린다는 의미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기에도 기업 유치 시 걸림돌로도 일할 사람이 없다 점이 꼽히고 있다.

결국, 산업구조, 일자리의 여건, 인구구조는 서로 영향을 미치며 엮여 있는 것으로, 전북경쟁력의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인구구조 및 노동공급의 변화 추이와 향후 전망’을 통해 2000년 이후 도내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활동 참가율에, 노동공급 여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되짚어보고,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를 해소할 방안 등에 대해 살펴봤다.
/편집자주



▲도내 인구구조의 변화 추이=전북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면서 인구도 점점 감소하고 있다.

한은 전북본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도내 인구는 181만8천명으로 집계, 2000년(192만7천명)보다 10만9천명이 감소했다.

연평균 0.3%씩 감소해 온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의 인구는 2000년 4천701만명에서 지난해 5천163만명으로, 연평균 0.5% 정도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북은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2001~2018년까지 9개 도 가운데 전남과 전북, 경북 등 3곳만이 감소했으며, 이 중 전북은 인구감소율이 두 번째로 큰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16년~2018년까지 최근 3년간 인구 변화를 보면, 도내 인구감소율은 –0.4%로 전남·경북(-0.2%)의 감소율을 상회,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어, 연령별로는 2000년 이후 39세 이하의 비중이 빠르게 감소하고 50대와 60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도내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은 2000년 11.1%에서 2018년에는 19.2%로 초고령사회(20%)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9개 도 가운데 전남에 이어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그만큼 전북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청년층의 순유출이 지속되고 출산율의 급감, 기대수명 연장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전북을 떠나는 20~30대 젊은 층이 끊이지 않고 있다.

2000~2018년까지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연령대는 10세 미만(-12만2천명, 연평균 –3.3%)과 10대(-10만1천명, -2.3%)가 1, 2위에 이름을 올렸지만 본격적인 경제활동이 가능한 연령대에서는 20대(-8만5천명, -1.7%)와 30대(-7만9천명, -1.8%)의 감소율이 가장 큰 것.

이는 일자리가 가장 큰 원인으로, 2018년 기준 전출한 인구의 이동사유별 비중에서도 알 수 있다.

‘직업’이 41.6%로 가장 높았으며, ‘가족(28.3%)’, ‘주택(14.8%)’, ‘교육 및 기타(16.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9개 도 평균으로 ‘직업’이 39.5%라는 점을 감안하면 도내 고용시장의 여건이 침체됐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년층의 탈 전북화 현상은 이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타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도내 양질의 일자리 비중은 2018년 하반기 기준 19.5%로 전국 평균(26.5%)을 크게 하회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더욱이 도내 전체 인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50대는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되고 있는 데다 40대는 2016년 이후 감소로 전화된 것으로 파악, 결국, 초고령사회 진입이 더욱 빨라질 게 불 보듯 뻔하며 지역 내 인재 찾기가 더욱 힘들어진 만큼 지역의 경쟁력 약화를 불러올 수 있는 인구구조로 급격히 변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변화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인구 규모의 변화에 따라 당연히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의 합계)의 규모도 변하고 있다.

노동공급의 인력 사정이 달라졌다는 의미다.

 2018년 기준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94만명으로, 인구규모가 축소된 것과 달리 2000년(87만1천명)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인구 증가와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에 따라 연평균 0.4% 증가했지만 전국 평균의 성장률(+1.3%)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2000년 경제활동참가율은 58.4%에서 2016년 61.2%로 상승했다가 2018년은 59.9%로 소폭 하락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 구조 변화의 흐름과 같이 50대와 60세 이상에서 경제활동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 20대와 30대는 감소했다.

특히, 60대의 경우 전체 경제활동인구(2018년 기준)의 24.2%를 차지, 전국 평균을 8.2%p 웃돌고 있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1.2%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80세 이상의 참가율도 20.7%로 인구 5명 중 1명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20대의 경우 2000년보다 2018년 2.6% 감소, 전국 평균(-1.2%)보다 감소세가 가파르며, 30대 역시 마찬가지다.

인구 구조와 마찬가지로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만큼 고용시장 내 노년층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발할 수밖에 없으며 젊은층의 탈 전북화로 인해 20~30대 경제활동인구가 축소, 이는 노동공급의 양과 질의 한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도내 일자리 관련 지원기관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이런 추세 지속될 경우 노동공급 전망=문제는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기준, 향후 2030년까지 도내 인구의 감소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저출산의 영향 등으로 고령인구 비중은 더욱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인구가 줄어들어 2018년 181.8만명에서 2030년에는 171.8만명 감소, 이는 전국이 동 기간에 30만명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과 대조되고 있다.

2030년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38.8%를 확대, 이는 전국 평균(33.2%)을 크게 웃돌며, 전남, 강원, 경북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런 변화가 전망되면서 노동공급 상황도 이전과 달리 향후에는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30~50대를 중심으로 15세 이상 인구가 갈수록 줄어듦에 따른 것이다.

이런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만약, 도내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다면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2020년 93.0만명, 2025년 91.3만명, 2030년 89.4명으로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며,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2020년 59.8%에서 2030년 58.2%로 1.7%p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어, 30~50대와 달리 2010년 이후 50대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해 50대와 60대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10년~2018년 중 연평균 상승폭만큼 매년 상승하고 다른 연령대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2020년 93.5만명, 2025년 93.2만명, 2030년 92.8만명으로 원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두 시나리오 모두 젊은 층이 아닌 중장년과 노년층의 증가 추이에 따른 도내 노동공급의 전망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도내 고용시장의 연령층은 높아지며 이는 결국, 경쟁력 약화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력(노년층)에 대한 채용을 선호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

이에 젊은 층이 유입되지 않고 늙어가는 전북의 일자리 환경의 심각성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마련 시급해=이처럼 시간차만 있을 뿐 전북이 인구 유입 방안을 찾지 못한다면 인구는 물론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은 불가피하다.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의 축소가 성장 동력의 약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동공급 확대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해마다 눈에 띄는 청년층의 역외유출 규모를 줄이기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

이를 위해 새만금 지역에 유망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 소재 중견기업과 청년 창업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일자리의 창출 외에 주거 환경 개선 및 문화 편의시설 확충 등을 통해 전북혁신도시 이전 기관의 직원 등이 전북으로 내려와 정착할 수 있도록 정주 여건 개선 또한 인구 유입의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방태경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장은 “청년층의 이탈 현상은 지역의 경제현상을 고스란히 보여주며, 미래의 지역 경쟁력을 보여준다.

이 추세라면 전북의 미래는 걱정이다.

줄어드는 속도가 현재로서는 우려되기 때문”이라며 “주요 원인은 일자리인 만큼, 이들을 붙잡아둘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정책에 대해 다시금 고민해야 한다.

이는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있는 정책이 아니기에 단·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공공보육시설 확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노력과 함께 공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여 교육비 부담을 덜어주는 등 출산에 우호적인 여건을 조성해 출산율을 높이고 경력단절여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역시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제안했다.

또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공급 간소의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해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성과를 활용한 방안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