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전기시설 그대로지만
사용량 많아져 잠재적위험↑

학교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원인 중 대부분이 전기누전과 단락, 합선 등 전기시설물 노후화가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전국학교 원인별 화재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 학교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 중 전기 누전 등으로 전기시설물 노후화가 가장큰 원인으로 드러났다.

특히 전기누전, 단락, 합성, 과부하 등의 원인이 생기는 이유로 학교시설 노후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건물 증가 등의 문제가 크게 지적됐다.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원인은 연도별로 2017년도 49건(51.0%), 18년도 66건(66.7%), 19년도 상반기(7월 31일 기준) 17건(50.0%) 등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기준 인천 100%, 경기 83% 등 전기 원인으로 인한 학교 화재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학교 시설에 대한 안점 점검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약칭: 학교안전법)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

학교안전법 제6조‘학교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에 의하면 교육감 및 학교장 등이 교육부 소관 국가안전기본계획에 따라 연 2회 이상 학교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그러나 학교 건물에 숨겨져 있는 전기배선에 대한 완전한 안전점검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학교 건물 전기시설은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학교 시설에 대한 사용량이 많아지는 등의 잠재적 위험 요소가 많다는 문제 제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박찬대 의원은 “학교는 많은 아이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어느 곳보다 안전이 최우선 돼야 하는 장소”이라며 “학교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원인이 대부분 전기 원인인 점은 사전에 진행되는 안전점검이 현실에 맞는지 다시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노후화된 건물에서 생겨난 문제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안전에 위험이 생기는 만큼 활용과 안전에 대한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병창기자 woojuchang@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