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교육센터 건립을 위해 도내 후보지들을 현장 실사까지 하고도, 정작 경북과 업무 협약을 체결한 LX.전북도의회가 나섰지만 진정성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는 소식이 본보 정치면을 메웠다.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공조와 계획을 논하기 보다는 언론보도 내용 등에만 의존한 채 정확한 경위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고, 집행부에 대한 책임추궁까지 거론됐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여론을 의식한 보여주기식 대응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국토교통부 종합 감사에서는 LX의 이중적 태도에 질타가 이어지기도 했다.

정동영 의원은 최창학 사장의 고향임을 지적하며 갈등의 소지를 낳았다고 일갈했다.

그러나 최 사장은 후보지 중 하나일 뿐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 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모 절차를 통해 혁신도시 이전의 취지가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도의회 공공기관 유치지원 특별위원회도 긴급 간담회를 열어, 전북도의 무기력한 대응을 따지기도 했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혁신도시 조성 취지를 뒤흔드는 사업을 이전부터 있어왔다.

한국농수산대학의 분교 추진과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기능 축소 논란이 그 예다.

한국농수산대학은 지난 6월 경북 의성지역에 분교를 추진하다 지역 사회의 거센 반발을 사기도 했다.

당시 허태웅 총장은 “사실이 아니다.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지난 3월엔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도맡고 있는 ‘5급 승진후보자 교육’을 경기도가 자체 실시하겠다고 해 논란이 일었다.

행정안전부가 경기도의 계획을 승인 보류해 일단락됐으나, 이 역시 여진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전북혁신도시의 뿌리를 흔들고 국가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이 같은 일들은 앞으로도 없으란 법이 없다.

그 기관의 유불리에 따라 언제든 발생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일들이 발생되는 원인은 어쩌면 그 공공기관이 애초 이 지역의 기관이 아니라 수도권 등 타 지역에서 온 외지 기관이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단순히 지역에 착근하지 못한 기관의 탓만 할 게 아니라 자치단체들이 이러한 기관이 이전의 본래 취지를 상기할 수 있도록 주변 환기를 시켜주는 것도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