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컨소시엄 참여해
새만금산단에 2022년까지
4천122억투자 17만대 생산
임금교섭제 임금격차 줄여

전북 군산이 대한민국 경제를 재도약시킬 새로운 실험대에 섰다.

지난해 5월 폐쇄됐던 옛 한국지엠 공장에 미래핵심 산업인 전기차의 중심지를 군산으로 만들겠다며 노사민정 대타협의 ‘군산형 일자리’가 비로소 본 궤도에 오르게 됐기 때문이다.

지역의 신산업 육성의지와 노사민정의 대타협, 그리고 정부의 지원까지 더해져 중견기업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하는 시도 역시 세계 최초다.

실력 있는 중견 기업들과 지역, 정부가 합심해 추진하는 군산형 일자리에 대한 의미와 전망, 앞으로의 과제 등을 3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 군산형일자리 어떻게 추진되나?

군산형 일자리는 광주, 경남 밀양, 대구, 경북 구미, 강원도 횡성 등에 이어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출범했다.

옛 GM공장 등의 자동차 인프라를 활용해 군산을 전기차 생산의 메카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군산에는 이미 옛 GM 생산기지는 물론, 수백 곳의 부품업체와 연구소 같은 자동차 인프라가 구축돼있다.

따라서 군산형 일자리는 광주형이나 구미형과는 달리, 대기업이 아닌 중견기업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한다.

이들은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 등이며, 군산·새만금 산단에 2022년까지 총 4천122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17만 7천대를 생산하고, 직접일자리도 1천900여개를 새로 마련한다.

명신은 2021년 중국 전기차 바이톤을 위탁 생산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엔 자체 모델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에디슨모터스는 전기버스 등 상용차를, 대창모터스는 초소형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지금껏 발표된 상생형 일자리 모델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다.

또, 임금 공동 교섭제를 도입해 원청과 하청 간의 임금 격차를 줄이고, 노동계가 협력해 앞으로 5년간은 노사 갈등 시 중재위 조정을 따르기로 하는 등의 파격적인 상생방안도 마련됐다.

지역 공동교섭, 적정임금 시현과 같은 선진적 요소들을 도입했다.

60억원의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조성해 복지 격차를 해소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지역의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양대 노총이 모두 참여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대기업 중심의 불공정한 원·하청 관계를 개선하는 ‘수평 계열화’도 시도한다.

부품업체들이 여러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 대기업과 동등한 위치를 갖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협약식에서 군산형 일자리에 대해 “무엇보다 희망적인 것은 ‘상생’의 수준이 최고다”고 밝힌 이유는, 상생형 일자리 중 직접고용 규모가 가장 많고, 정규직 채용 비중이 높으며, 직무와 성과 중심의 선진형 임금체계 등이 도입됐기 때문이다.

위기극복을 위한 지역민들의 의지가 반영된 군산형 일자리에 많은 이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