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경영악화땐 지방 철수
일자리 참여한 중소중견기업
자체기술보유 발전가능성높아

갈등 발생시 5년간 조정안수용
명신-새만금 컨소시엄 상생
문대통령 방문 전기차 힘실려

“군산형 일자리는 국내 최초의 전기차 클러스터라는 점과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했다는 점, 그리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이 참여한 최초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같은 차별점으로 인해 군산은 위기를 극복하고, 전기차 산업의 1번지로 우뚝 설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송하진 도지사는 28일 ‘군산형 일자리’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며, “전북경제가 도약을 위해 의미 있는 한 걸을 내딛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래산업인 전기차로 희망을 꿈꾸는 전북도의 계획을 정리해 본다.



-군산형일자리 협약식을 마친 소감 한 말씀.

“군산형 일자리는 그간 GM 등 대기업에만 의존했다는 뼈를 깎는 반성에서 시작됐습니다.

자금력이 튼튼한 대기업은 지방에 투자 후, 경영여건이 악화하면 지방사업장을 철수하기가 용이합니다.

하지만 지역에 기업 자본의 대부분을 투자하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투자보조금 등 지원만 받고 군산을 떠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기업은 자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발전가능성도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번 상생협약을 통해 중견·중소기업 복지개선으로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 수평적 협력관계 구축과 전기차 밸류체인 형성 등을 통한 상생성장이 가능합니다.

중기부·중진공의 지원,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 특구 추진, 산업위기대응정책 등을 적극 활용하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꾸준히 보완해 나갈 계획입니다.”

 



-전북도의 역할은 얼마나 있었나요?

“참여하는 기업이 많고, 논의 초기에는 지역공동교섭, 근로시간계좌제, 공동복지기금 등 그동안 접해 보지 못한 선진형 근로시스템 도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기류도 있었습니다.

‘5년간 무분규 협약’조항에 대해서 사측은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 노측과 첨예하게 대립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도는 노사가 수용 가능한 협약안을 만들기 위해 수차례 숙의 과정을 거쳐 ‘5년간 무분규’에서, 단체협상권은 인정하되 ‘갈등 발생 시 5년간 상생협의회 조정안 수용’으로 변경 제안했습니다.”

 



-군산형일자리 추진으로 인한 기대효과는? “당초 명신컨소시엄과 새만금컨소시엄은 각각의 상생형 일자리로 분리하여 추진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수차례의 공론화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노동계(한국노총․민주노총)가 군산지역에서 각각의 상생형 전기차 모델을 추진하는 것은 상생의 의미가 퇴색하는 것으로 판단, 통합을 제안했습니다.

두 전기차 컨소시엄은 목표에서는 비슷한 성격을 갖지만, 주력 생산 차종은 기업별로 상이해 상호 견제와 균형이 가능합니다.

양 컨소시엄 통합을 통해 부품업체 간 밸류체인 형성이 가능하고 R&D 공동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이뤄질 것으로도 기대감이 큽니다.

또 참여기업 요구기술 R&D 지원과 참여기업 간 공공R&D 무상지적 재산권 사용 협약을 통한 기술경쟁력도 강화될 것이라 믿습니다.”





-대통령 방문에 대한 의미가 있나요?

“대기업 이탈로 고통 받던 군산이 단기간에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상생협약을 마련하고 미래 신산업인 전기자동차의 메카가 되겠다는 의지를 밝힌 데에 큰 힘을 실어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대통령이 협약식에 참여한 지역은 구미, 광주 그리고 군산이 유일한데요.

대통령 방문으로 국가균형발전법 국회 통과 후 추진되는 산업부 상생형 일자리 지정 공모와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에도 큰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