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국악원 교무계장 임용
공연기획-학예실 업무중복
외부인 채용 예산낭비 지적

전북도립국악원 사무국의 개방형 임기제 공무원에 대한 무용론이 예술단을 중심으로 크게 제기되고 있다.

담당업무가 중복되는데다 굳이 한 해 수천 만원의 예산을 들이면서 외부 전문가를 들일 필요성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

해당 당사자는 지난 2014년 11월 전북지방일반임기제 공무원 임용시험 절차에 따라 채용됐다.

임용 분야는 국악원 교육 운영계획수립 및 연수생 관리, 공연기획 및 집행에 관한 종합검토, 단원 채용 및 상임단원 복무관리, 상임단원 단체협약 및 노무관리 등이다.

이를 위해 국악원은 조례를 개정해 당초 공무원이 근무했던 교무계장 자리를 개방형으로 변경했다.

도립국악원 사무국에서는 현재 공연팀장이란 직책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올해 연말이면 임용최장기간인 5년이 도래된다.

임기만료로 국악원은 신임 공연팀장 채용을 위한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하지만 예술단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팽배하다.

업무중복으로 별다른 도움이 안된다는 게 이들의 의견이다.

실제 당초 임용시 부여됐던 업무를 살펴보면 국악원 교육 운영계획수립 및 연수생 관리는 교육학예실로 이관됐다.

또 공연기획 및 집행에 관한 종합검토는 공연기획실 업무와 상당부분 중복된다.

단원채용 및 상임단원 복무관리는 굳이 전문가보다는 기존 공무원도 충분히 소화가능하다.

결국 외부전문가 채용은 예산낭비로 이어져 아까운 세금만 쓰게 된다는 게 예술단 내부의 목소리다.

또 일각에서는 예술단이 감사 결과에 따른 책임성이나 결재권한 부재 등으로 외부 전문가 공무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공연기획실장에 관련 권한을 부여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여기에 외부전문가 채용은 예술단을 믿지 못하겠다는 사무국의 인식이 팽배하게 깔려 있다는 결과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악원장은 필요 당위성을 강조했다.

예술을 아는 사람이 사무국에 근무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산이나 비품구입, 의상 등 공연에 관련된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결재권한 등 공문서 작성은 공무원이 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태근 원장은 “공연이나 단원 채용 문제 등 예술단 운영에 관해 공무원들은 잘 모르며,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많다. 때문에 예술에 정통한 사람이 필요하다”며 “국악원 내부에서 공연과 회계에 관한 자체 검증도 필요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이 확보돼야 한다. 종합조정할 판단 능력과 보좌능력이 필요하다. 곧 전북도에 채용 요청을 할 것이며 관련 절차를 밟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예술단 관계자는 “일장일단이 있지만 활용을 해보니 굳이 필요 없다는 게 대다수의 의견이다”며 “업무의 연속성 입장에서 필요할 수 있지만 기존 공무원에 비해 전문가를 둬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평했다.

내친김에 의견수렴을 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 예술단 관계자는 “원장이 필요하다고 해 혼자 판단해 진행할 문제가 아니다”며 “설문조사나 평가 등 예술단의 의견수렴을 거쳐 필요성에 대한 유무 관계를 따지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고 말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