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로 옮겨온 공공기관이 지역 업체를 외면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상생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는 소식이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전북도의회 정의당 소속 비례대표 최영심 도의원이 지난 2016년부터 3년 동안 국토정보공사와 전기안전공사, 출판문화산업진흥원, 식품연구원 등 4곳의 수의계약을 조사한 결과에서 나타났다.

조사결과 전체 696건 중 17.4%, 121건만 지역 업체와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업체에 쓰인 돈도 전체 계약금액 279억 원 가운데 10.7%, 30억 원에 그친 것이다.

실제 홍보리플릿 제작이나 경영실적보고서 인쇄 및 편집 용역 등 지역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수의 계약을 광주나 서울 등에 본사를 둔 업체와 계약을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본사 사옥 외벽청소 용역’ 같은 경우도 지역 업체가 아닌 대전에 있는 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토정보공사의 경우 사장배 축구대회를 개최하며 지역 본부별로 유니폼을 제작했는 데 그 유니폼 조차도 지역이 아닌 서울 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2018 전주 자전거 한마당 행사 대행업체도 대전에 소재한 업체와 수의계약하며 3천만원을 계약금액으로 지불했다.

제4회 안전산업박람회를 개최하며 홍보부스를 제작 설치하는 것 역시도 지역이 아닌 서울 업체와 수의 계약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장례용품 100세트 제작에 경기도 업체와 수의계약으로 2천100여만원을 지불했다.

전주한솔제지, 전주 페이퍼 등 지역에 종이 제조업체가 많지만 복사용지까지 인천 업체과 수의계약을 해 1억2천600여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조 화환 제작, 장례용품 배송 서비스, 사무공간 재배치 공사, 춘추복 상하의 제작, 하절기 근무 피복 2종 제작 등 지역업체와 수의계약이 가능하지만, 모두 외부업체를 사용했다.

수의계약 문제는 지난달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해온 공공기관이 지역과 상생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번처럼 마음만 먹으면 수의계약으로 충분히 지역업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외지업체를 외면한 사례, 그것도 딱 떨어지는 데이터는 나온 경우는 처음이다.

과연 지역 착근, 상생의 의지가 있기는 한 것이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이 지역에 애정은 갖는 일은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기관이 노력하는 일이고, 이는 수의계약 취지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지역업체에게 일감을 주는 일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