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10개 지역구가 온전히 지켜질 것이란 낙관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패스트트랙을 통해 상정되는 선거법 개정안의 내용에 따르면 전북은 현재의 지역구 의석인 10석에서 9석으로 줄어들 수도 있었다.

하지만 친여권의 '4+1 협의체'에 참여한 도내 정치인들의 적극적 활약에 의해 전북의 현 10개 선거구가 그대로 지켜질 가능성이 커졌다.

본보는 이 같은 내용을 11일자 정치면에 자세히 다뤘다.

그러면서 도내 정치권은 지역구 의석의 축소를 막고 현재의 10석을 사수하기 위해 선거법 개정안의 최종 통과 때까지 전력을 쏟아야 한다고 ‘만약’을 대비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현재 여야 주요 정당 분위기를 종합하면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여야 협상 과정에서 친여권은 '지역구 250석+비례 50석' 안에서 비례 50% 연동률 적용으로 이견을 좁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경우 전북 지역구가 거의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안이 아니라 다른 안이 올라가게 되면 지역구 축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이런 분위기 속에 민주당, 미래당, 평화당, 정의당, 대안신당 등 '4+1협의체'는 내년 총선 획정을 위한 인구 기준을 '선거일 전 3년 평균'으로 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일 전 15개월 속하는 달의 말일'을 인구 기준으로 하고 있어 이 경우 익산갑 13만7천710명을 포함한 4곳이 통폐합 대상에 오르게 된다.

하지만 '3년 평균'으로 조정하면 익산갑은 통폐합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4+1 협의체에서 이같이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익산갑, 익산을 통폐합 가능성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도내 정치권은 여야 간 선거법 합의와 본회의 상정 때까지 익산갑 통폐합을 막기 위해 최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의 10개 선거구 사수를 위한 마지막 관문은 한국당.

한국당이 향후 선거법 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나올지가 변수라는 것이다.

최근의 선거법 협상은 국회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제외하고 논의돼 왔다.

선거법 협상과 본회의에서 통과가 되더라도 민주당으로선 제1야당의 배제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4+1 협의체의 선거법 논의 이외에 민주당, 한국당, 미래당 등 국회 교섭단체 3당이 별도의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북 정치권이 관여하기가 사실상 쉽지 않다.

따라서 도내 정치권은 전북의 현 10석 사수를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의 끈의 놓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10석 관철을 위한 당위성을 설파하는 등 전방위 포섭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