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사는 가구의 비중이 갈수록 증가할 것이란 전망 섞인 기사가 나왔다.

젊은 층의 탈 전북화에 따른 인구 감소와 저출산, 고령화가 복합적으로 맞물린 데 따른 것으로, 가구 유형 변화에 따른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는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9 호남·제주 가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른 내용에 근거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도내 가구 수는 73만4천가구로, 2018년 대비 0.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구가 늘지 않는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경우 가구수는 오는 2035년 기점으로 감소세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이 추세라면 2047년 도내 가구는 72만9천가구까지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도 출산율의 감소로 가구가 줄고 있지만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시점은 2041년으로, 그만큼 전북의 인구감소세가 더욱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평균 가구원 수가 가구 수와 달리 이미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 도내 평균 가구원 수는 2.32명이지만 2047년에는 1.99명으로 앞자리 수가 바뀔 것으로 예측됐다는 점 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가구원 수별 가구 및 구성비를 보면 지난해 총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23만8천가구로, 2047년에는 29만5천가구가 증가할 전망이다.

2인 가구 역시 22만1천가구에서 25만6천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파악, 이에 27년 뒤 총가구 가운데 1인가구와 2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0.5%, 35.1%까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10가구 가운데 약 8가구가 1~2인 가구인 셈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중 1인 가구는 지난해 8만3천가구로, 2047년에는 16만3천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고령자 10가구 중 4가구 이상이 1인가구인 셈이다.

결국 가구 수가 당분간 증가하는 것은 1인 가구가 급증함에 따른 것으로, 무엇보다 고령자 1인 가구가 이를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이런 유형의 가구가 인구 감소를 더욱 가속화 시키는 동시에 지역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지자체별 대책, 아울러 젊은 층의 가구주가 감소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