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새해를 맞아 문재인 대통령은 ‘확실한 변화’를 일구기 위해 국민 각자가 허리띠를 졸라매며 분발하자고 촉구하고 있다. 이에 맞춰 우리는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자세로 자강불식(自彊不息)하며 상전벽해(桑田碧海)의 변화를 일궈내야 한다. 국민연금공단과 전라북도, 전북대학교 등은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금융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연초부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공단과 전라북도는 연금기금 운용사들이 혁신도시에 대거 집중하고 거점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전북대학교도 지난 연말 신설한 연금기금 전공의 석박사 과정을 모집하는데 운용역들의 지원이 잇따라 정원을 다 채웠다고 한다. 

지난달 30일 공단과 전라북도와 MOU를 체결한 무궁화투자신탁과 현대자산운용은 다음달 20일 혁신도시에 사무소를 개설할 예정이다. 새해 인사차 필자를 방문한 무궁화투자신탁 관계자는 신입사원 채용 때 전북 출신을 우선적으로 선발하겠다고 밝혔다. 회사가 기금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인재가 혁신도시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하며 업무에 전념하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 같은 방침을 결정했다고 한다. 지역인재 채용이 어찌 무궁화투자신탁에 그칠 것인가? 현대자산운용이나 이미 전주 혁신도시로 이전한 기관 그리고 앞으로 이전할 기관들도 지역인재 채용을 늘려나갈 것은 명약관화하다. 이런 점에서 전북대학교가 연금기금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시작한 것은 변화의 조류를 잘 읽어내고 선제적으로 잘 대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금융생태계가 서서히 조성되면서 과연 이전 금융기관들이 뿌리를 잘 내릴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볼 일이다. 우선 업무용 건축을 위한 도시계획이 정비되지 않고 있으며, 황방산 터널 등 기반시설 구축과 구도심과 연계하는 대중교통망 정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울러 금융기관들이 보안을 유지하며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전용건물이 없으며, 건물을 빌린다 해도 비싼 임차료를 내며 수익을 내기에는 초기 비용이 지나치게 부담이 된다고 한다. 인건비와 여비, 시설운영비, 장비 구입비 등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전라북도는 이에 대해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전북으로 이전하는 2명 이상 상시 고용 금융기관 및 금융 연관산업 기관에게 입지보조금과 사업용 설비 건축자금, 주거비, 고용보조금, 교육훈련보조금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구체적으로 법령근거가 필요하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위원회가 전주를 금융중심지로 시급히 지정하고 금융중심도시로 육성하는 게 필요하다는 여론이 거세다. 이 부분이 당장에 어렵다면 과도기적으로 ‘금융중심지지원법’을 개정하고 금융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전라북도가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럴 경우 공단도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전라북도가 ‘전북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에서 금융업 분야를 별도로 분리하고 지원기준을 마련하려는 데 대해 도의회가 반대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유감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이 조례는 지원 대상을 상시 고용인원을 20명 이상으로 한정해 이보다 소규모로 이전하는 금융기관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무궁화투자신탁처럼 이 지역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하려는 경우 적극 지원해야 한다. 미국의 금융도시 샬럿은 이런 노력들을 결집해 오늘날의 번영을 구가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했듯이 상전벽해의 ‘확실한 변화’와 ‘확실한 성과’를 이루려면 잇따라 전주에 둥지를 트는 금융기관들에 대한 특별한 지원과 대책이 절실하다.

결국 4.15 총선에서 전주 혁신도시를 금융중심지로 지정하고, 혁신도시 시즌2를 성공시키며, 전주를 금융중심도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공약을 제시하고 실천할 정당과 인물을 찾는 것이 현명한 길이 될 것 같다.

/이춘구 국민연금공단 감사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