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 코로나19 확진자들이 전북에 이송되고 있는 가운데 확진자 수용을 위한 음압병상 확보가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보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사를 1면 톱기사로 다뤘다.

본보는 국립중앙의료원의 요청으로 최근 경북지역 확진자가 전북대병원 음압병상으로 이송돼 치료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본보는 코로나19 장기화가 예상되는 만큼, 전북도가 지역 컨트롤타워 역할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장기플랜 마련과 ‘민관협의체’ 등을 서둘러 구축, 일선 병원들과의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도내에 음압병실을 갖춘 곳은 원광대병원과 전북대병원 등 2곳으로 총 8실 11병상이 운영 중이다.

1인1실 규정이 적용되면 한 번에 8명의 확진자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위급시 환자들끼리 병실을 공동을 사용한다해도 최대 11명까지만 가능하다.

문제는 입원 가능 병상은 6실 9병상 이지만 전북대병원과 원광대병원은 국가지정병원이다 보니, 국립중앙의료원의 통제를 받는다.

전국적인 환자를 강제 배정할 경우 도에서는 이를 거부할 수 없다.

현재 대구·경북지역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코로나19 중증환자에 대한 전북 이송을 거부한다는 것은 도의적으로도 어려운 상황.

결국 국가지정병원만으로는 확진자들을 수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 의료계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가용 가능한 의료자원을 최대한 확보, 감염자 급증에 대비한 전략을 짜야 한다는 것이다.

도는 메르스가 한창이던 2015년 종합병원, 일반병원 의료인들을 주축으로 ‘민관 협의체’를 구성·운영한 바 있다.

이후 2018년 9월 3년 만에 국내에서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해 전염 확산 우려를 높였으나 이후 추가 감염자가 나오지 않으며 발생 38일 만인 10월 메르스 종료가 선언됐고, 메르스가 시들해지며 이 민관협의체 역시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채 흐지부지 끝을 맺었다.

현 단계에서 이 민관협의체가 다시 꾸려져 장기전에 선제적으로 대응, 병실과 시설, 인력 확보, 역할 분담 등의 디테일한 부분을 협의해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보건소와 1·2·3차 병원간 역할 등 감염병 관련 의료 시스템을 정비하지 않으면 대구처럼 대규모 환자 발생 시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실제 지역 의료현장에선 코로나19 관련 중앙과 도, 보건소와 1·2·3차 병원간 진료 지침이나 영역 등이 명확하지 않아 의심환자 등에 대한 체계적·효율적 진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불만이 높다고 한다.

보건소와 각 병원간 역할 분담 조정, 의료계 현장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협의체의 구성, 충분히 검토되어야할 사안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