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용병상 114개··· 공무원만으론
현장소통 어려워 실효성 낮아

전북지역 코로나19는 열흘 넘게 확진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정체국면을 맞은 것처럼 보이지만 대구경북에서 일주일 사이 전북으로 300여명의 확진 환자를 이송 시키면서 의료현장은 혼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으로만 구성된 전라북도 컨트롤타워에 전문의료진을 포함시켜 현장에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방역과 의료 대책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5일 전북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전북 확진자는 3명이며, 접촉자 15명은 자가 격리 중이다.

반면 대구에서 이송된 환자는 군산과 남원의료원 109명, 진안군 의료원 14명, 김제 삼성생명연수원 169명 등 모두 263명이며, 300병상이 사용 중이어서 전북에는 현재 가용병상이 114개 뿐이다.

지역 의료계에선 이 정도 병상으로는 집단 감염사태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전라북도 주도의 생활치료센터를 확보하고 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전북도는 경증환자가 발생할 경우 도내 14개 시군당 1개씩 15개 생활치료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마저도 의료 현장에서는 실효성 없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지정해 운영 중인 김제생활치료센터만 보더라도 169명의 환자를 위해 의료인력 80명과 행정요원 10명이 투입됐다.

전북도 구상대로 14개 시군에 15개 센터를 만들 경우 의료진과 의료물품 등을 전 시군으로 분산시켜야 하는데 거의 불가능하며, 상급병원과도 60km이상 떨어진 곳이 대부분이어서 환자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현장과 행정사이에 온도차를 보이는 것에, 코로나19 발생 후 조직된 전북재난안전대책본부에 지역 의료계 인사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대책을 사실상 결정짓는 도지사부터 실국을 진두지휘하는 지휘관에 전문 의학 지식을 갖춘 인물이 서기관(4급) 단 한명이다 보니, 지역 의료계와 소통이나 교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코로나 대응이 전문가의 영역이어서 행정 시스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감염병이 확산하면 의료 전문가들은 과도할 정도의 대처를 주문하고, 행정 관료들은 현실적인 대응을 고수하는 등 의견 차가 크게 벌어져 방역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광주에서 전문 의료 인력을 중심으로 한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로써 의료계 현장의 목소리가 방역 행정에 즉각 반영돼 집단 감염 등에 대처하는 능력이 훨씬 향상될 것이라 평가하고 있다.

서울시도 통제관 자리를 의료인 출신이자 우리나라 역학·예방의학회 임원을 지낸 인물이 맡아 진두지휘하고 있다.

현장과 행정 사이에 괴리감을 줄이고 중앙과의 정보도 함께 공유함으로써, 선제적으로 대응 하려는 조치다.

전북도 관계자는 “생활치료시설은 환자가 혹시나 시군별로 급증하게 됐을 때를 대비해서 준비한 단계”라며 “5실이라 하더라도 2명~4명이 들어가면 20명 까지 수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당장은 시군 지정을 유지하되, 현장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