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공천 불복 후 입당에 대해 ‘영구제명’이라는 초강수를 들고 나왔다.

공천 탈락 후 복당 신청 시 이를 전면 불허하겠다는 것.

전북도당은 한술 더 떠 특정 무소속 후보가 총선 승리 후 민주당에 복당한다는 문자메시지를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법적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전했다.

이는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 후 복당 계획을 선거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실제 모 지역 후보의 경우 당선 후 민주당에 복당한다는 문자가 지역사회에 넓게 퍼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한다.

이런 내용은 민주당 후보와의 변별력 문제를 낳고 있다는 입장.

이는 민주당의 지지세가 높아지고 유권자들의 선호도가 집중되고 있는 점을 악용한 사례로 바라보고 있다.

탈당한 무소속 당선자들은 총선 때마다 있어왔고, 복당 역시 우리 정치사에선 줄 곧 있어왔다.

전북 정치사에서 잦은 탈당과 복당에도 불구, 몸값을 높여왔던 인물로 정동영 의원이 눈에 띤다.

정 의원은 2009년 4월 무소속연대를 통해 전주 덕진에서 당선됐다.

당시 정 의원은 ‘정동영·신건 무소속연대’를 결성하며 내건 모토가 “당선 후 민주당 복귀”였다.

민주당은 당시에도 ‘복당 불허’라는 단호한 입장이었다.

그러나 9개월 만에 복당 불허 원칙은 무너졌다.

그런가하면 되려 복당해 달라 사정하기까직 했다.

정 의원은 이후 2014년 서울 관악을 보궐선거를 위해 또다시 탈당했으나 낙선했고, 고향인 순창에 내려가 칩거 중이었다.

당시 안철수 천정배 의원과 범야권 재편을 위한 움직임을 보일 시절이었다.

이런 와중에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현 문재인 대통령이 정 의원을 만나러 늦은 저녁 순창까지 내려가 복당을 권유했으나 되레 거절당한 일화는 유명하다.

‘공천불복, 영구제명’ ‘무소속 당선자 입당불가’를 주장한 이해찬 대표 역시 2016년 2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돼 복당한 전례가 있다.

이 대표는 '김종인 비대위'가 공천을 배제하자 탈당했고 5개월 뒤 복당했다.

작금의 상황은 미래한국당에 맞서 민주당발(發) 비례연합정당 구성을 목전에 둔 시점이다.

이 비례연합정당 구성에 있어 민생당의 역할이 지대한 상황이다.

특히 대안신당계 의원들의 경우 현 민주당과 우호적 전선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는 살아있는 생물이라고 한다.

변화무쌍해서 상황은 언제고 변한다는 점에서 ‘생물’로 비유한 것이다.

전북의 정치사, 더 나아가 한국의 정치사는 ‘탈당과 복당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일까? 일각의 정치인들은 중앙당의 이번 조치를 액면 그대로가 아닌 ‘엄포용’으로 받아들이는 듯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