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방지와 학사일정 사이에서 고민하던 정부가 꺼내든 온라인 개학이 일선 교육현장을 혼란의 도가니로 몰아갈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가장 큰 우려는 아이들의 교육 문제다.

온라인 개학은 한국 역사상 처음있는 일이고, 아무런 예행연습 없이 급박스럽게 진행되다보니, 혼선은 명약관아할 것이란 관측이다.

정부가 나름의 계획을 내놨지만 구체적이지 않아 '사각지대'가 적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다.

무엇보다 온라인 수업을 들을 만한 스마트기기가 적지 않은 게 가장 큰 걱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7일 내놓은 '2019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태블릿PC 등 컴퓨터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의 71.7%.

바꿔 말하면 10가구 중 3가구는 컴퓨터가 없다는 뜻이다.

통계청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지역별 가구 컴퓨터 보유율에서 전북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65.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자료라는 점에서 그 수치가 부정확하다해도 10곳 중 적어도 3~4곳의 가구는 컴퓨터가 없다는 말일 듯 싶다.

문제는 컴퓨터만 있다고 수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통계가 보여주지 못하는 부분도 많다.

집에 학생이 2명인데 컴퓨터는 1대만 있다면 두 명 중 한 명은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가 없다.

부모까지 재택근무로 컴퓨터를 써야 한다면 '컴퓨터 사용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

그나마 각 가구가 가구원 수만큼 가진 전자통신기기가 휴대전화인데 학생들에게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지 않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생은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

맞벌이 부부들의 경우 할머니 할아버지 손에 맞겨지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대부분 인터넷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은 게 십상이다.

중·고교생들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어느정도 높지만 초등학생과 저학년생은 각각 70%과 20%대에 머물고 있다고 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각 학교가 학생들에게 빌려줄 수 있는 스마트기기는 총 13만대 정도라고 하는 데 초중고생들은 545만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절대 넉넉지 않은 양이다.

실제 전국적으로도 스마트기기 미보유 학생 비율의 수가 20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기기가 있어도 온라인 수업 수강을 도와줄 보호자가 없다면 이 또한 문제다.

정부는 물론 도교육청, 교육지원청, 단위 학교 차원에서라도 이번 온라인 개학에 대한 점검 작업을 벌이고 문제는 무엇이고, 개선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총체적 진단에 나서야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