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부설로 예산-인력 한계
文 국립감염병연구소 설립
송지사 국립硏 분원 변경해
시설활용땐 전북감염병메카

25일 전북도청 기자실에서 송하진 도지사가 정부가 추진하는 국립 전염병연구소 분원으로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로 전환하자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전북도 제공
25일 전북도청 기자실에서 송하진 도지사가 정부가 추진하는 국립 전염병연구소 분원으로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로 전환하자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전북도 제공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책기관 지정 문제가 쟁점화 될 전망이다.

송하진 도지사는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예산과 인력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국립 감염병연구소 분원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 지사의 이 날 발언 배경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시기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하려는 조치다.

송 지사는 이 날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현재 교육부 산하, 특정대학의 연구소로 구분지어지다 보니, 본연의 업무인 국가재난질병연구를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학교 부설연구기관 특성상 운영을 위해서는 공모사업들의 과제를 유치하는 데 주안점을 줄 수 밖에 없어 체계적인 연구수행은 어려운 실정이다.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진단’이나 ‘방역’ 같은 기초분야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현재 구조로는 기초분야 연구가 부족할 수 밖 에 없는 구조다.

예산을 전북대 일반예산에서 일부를 지원받는 형식이다 보니, 올해도 8억5천 만원만 배정받아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설 규모에 맞는 인력 운영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다.

2015년 처음으로 문을 연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국가 재난 질병과 인수공통전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371억 원을 들여 설립했다.

AI나 메르스 바이러스 같은 고위험 병원체를 실험하려면 병원체가 연구시설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음압 기능을 갖춰야 하는데, 이 연구소는 이 요구를 충족하는 ‘생물안전 3급 시설’을 국내 최대 규모로 갖췄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동물 실험이 가능한 시설이다.

시설 규모에 맞는 정원도 65명이나 되지만, 현재는 전북대학교는 13명만 배정, 운영할 정도로 연구진도 열악하다.

따라서 교육부 소속의 감염병연구소가 아닌, 보건복지부 소속의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소 형태로 조직 체계나 구성을 전환해야 한다는 송하진 지사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이번 코로나19 K방역 시스템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국가적 차원의 관련 연구 시설이 필요하다”면서 “전북대 시설 운용에 대해 도지사가 어디까지 관여해야 하는지 조심스럽지만, 기존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시설과 정부 방침과 연관이 큰 만큼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국가비상경제회의에서도 관련 연구소 설립에 대한 방향성이 제시된 상황에서, 기존 시설을 활용한다면 전북도 입장에서는 예산과 인력, 장비 등 엄청난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우리나라가 감염병 선진국으로 도약해 국가의 격을 높이고 나아가 노벨상 수상자까지 배출하는 계기도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되는 교육부 자산인 전북대 시설 전환에 대해서도 전북대학교 측은 물론 교육부 등과 어느 정도 논의가 돼 추진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송 지사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국립 시설로 전환은 수리 차원이 아닌 재조립의 의미를 갖는 것”이라며 “학교와 중앙정부 설득 등을 통해 반드시 이루어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