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연평균 이동자수
10만1,402명 순유출 1만2,748명
경기-서울 부동의 1-2위 차지
20~30대-익산 순유출 '최다'

20~30대 젊은 층의 탈 전북화 현상이 멈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지역 경쟁력의 약화를 불러오는 만큼 젊은 층이 전북에 머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26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00년 이후 20년간 전라북도 인구이동 추이’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이동자수는 22만8천775명으로, 20년 전에 비하면 이동자수는 34.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년간 연평균 이동자 수는 10만1천402명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이동자 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시도 내 이동이 74.5%(17만357명), 시도 간 전입은 25.5%(5만8천418명), 시도 간 전출은 31.1%(7만1천166명)로 집계, 사실상 1만2천748명이 순유출된 것이다.

 더욱이 20년간 단 한 차례도 빠짐없이 순유출이 이뤄졌으며, 더욱이 최근 10년 동안 순유출 규모가 최대치였던 해는 2018년으로 분석됐다.

전출지로는 경기와 서울이 20년간 부동의 1,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지난해 순이동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50~59세(+538명), 69세 이상(+333명)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가 순유출로 파악됐다.

순유출 연령대 중 20~29세(-9천689명)가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30~39세(-2천130명)가 두 번째였다.

이어, 10~19세(-1천290명), 40~49세(-373명) 등의 순이었다.

무엇보다 20~29세의 순유출은 지난 20년간 단 한 차례도 멈추지 않고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의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30~39세는 2013년 이후 지난해까지 연속으로 순유출이 이뤄짐은 물론 규모 역시 확대된 것으로 파악, 40~49세도 최근 2년 연속 순유출을 이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지난해의 경우 전주시(+3천90명)를 제외한 13개 시·군 모두 순유출 지역으로 분류됐다.

특히, 익산시가 2018년에 이어 순유출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무려 5천551명이 떠났으며 군산시(-1천997명)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익산시의 경우 지난 20년간 2011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순유출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더 나은 교육환경, 주거 문제 등도 이유지만 지역 고용여건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젊은 층의 탈 전북화를 가속화 시킨 것 역시 이 같은 이유로, 시 지역을 중심으로 순유출이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문제는 순유출이 멈추지 않는 것은 소비 위축, 지역경제 침체 심화 등 장기적으로 지역 경쟁력의 약화를 불러온다는 점이다.

특히, 앞으로 전북을 이끌어갈 20~30대 젊은 층의 이탈 현상은 이를 더욱 가속화 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

이로 인해 젊은 층은 물론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미래 먹거리 산업을 차질 없이 추진,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주거환경 개선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도내 경제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