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 이어 전남에서도 의과대학 유치를 선언하고 나섰다.

남원 공공의료대학원 설립이 늦어지자 2017년 폐교한 서남대학교 의대정원 49명을 타 지역에서 뺏어가기 위해 정부 흔들기에 나선 것이다.

전남에서는 26일 의과대학을 유치하겠다며 희망대학과 지자체가 공동협력 협약을 맺는 등 배수진을 치고 나섰다.

이 자리에서는 전남도와 목포대, 목포시, 순천대, 순천시가 함께 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공동협력 협약식 자리에서 “의과대학을 전남에 유치한 뒤 나중에 그 부지를 결정 하겠다”고 발표했다.

김 지사는 “범도민 의과대학 유치추진위원회를 공동으로 구성하고, 각 기관간 정보 공유와 유치시책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과도한 경쟁과 갈등을 지양하고, 유치분 위기 조성에 함께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2, 제3의 코로나를 대비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모든 지역 역량을 한 방향으로 모아 도내 의과대학 유치에 앞장서 달라”고도 당부했다.

자치단체들마다 의대에 관심을 보이는 건 2006년 이후 14년째 정원이 동결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와 민주당은 2017년 서남대폐교로 발생한 정원을 남원에 2022년 개교를 목표로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을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신설되는 공공의대는 일단 폐교하는 서남대 의대 정원 49명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설립, 의료취약지역의 의사 인력난을 완화해 나가겠다는 취지였다.

실제로 우리나라 의료 인력의 지역 불균형은 심각하다.

특정 지역으로의 의료인력 쏠림현상 탓에 의사가 부족한 일부 지역에서는 필수 진료서비스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마저 벌어지고 있다.

분만 산부인과가 없어서 애를 낳지 못하는 분만 취약지는 2015년 37곳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방에서 의료진을 구하기 어려운 것은 수요보다 의사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게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정치권이 공공의대 남원설립을 3년 전, 결정한 이유는 서남대 폐교에 따른 도민들의 상실감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대승적으로 추진한 것이었다.

상황은 이런데도 서울에 이어 전남까지 의대유치에 눈독을 들이자 도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공공의대 설립 법안’이 좌초되면서 6월부터 시작되는 21대 국회에 희망을 걸고 있지만 현재로써는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법안만 통과시켜 놓고 자칫 유치는 타 지역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와 정치권은 법안 통과 못지않게 전북 유치에 심혈을 기울여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챙기는’ 사태가 벌어지진 않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